"서울 곳곳에 웅덩이"…대형 싱크홀 우려 확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지난 4년간 서울 시내에서 대형 싱크홀(sinkhole)이 13개 발견됐다. 최근엔 석촌호수 주변과 여의도에서 싱크홀이 자주 발견된다는 소식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싱크홀은 지반이 밑으로 꺼지면서 생긴 큰 구멍을 말하는데 주변 건물의 기울기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이동 중인 사람과 차량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발견과 조치가 필요하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0년 하반기부터 올해 하반기까지 각종 공사나 상수도 누수, 하수관로 파손, 장기간 압력 등으로 발생한 싱크홀 가운데 가로와 세로가 2m가 넘는 것은 13개였다. 이 중 5개는 원인을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6월 한달 동안 4건의 대형 싱크홀이 발견됐다.

강서구청별관 앞에서는 입구가 10×12㎡인 싱크홀이 생겼다. 땅 밑을 지나가는 인천광역상수도의 파열로 물이 주변 흙과 함께 다른 곳으로 흘러가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미역 교차로(2×3㎡), 방화동(4×6㎡), 국회의사당 정문(3×3㎡)에서도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 누수로 만들어진 싱크홀이 잇따라 발견됐다.

서울시는 통계 작성 후 싱크홀이 자주 발견되는 지역의 상하수도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이진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