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주택 재건설사업 부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불량주택재개발사업이 부진하다. 서울시는 올해 25개 지역 6천6백77가구의 불량주택을 헐고 새집을 세우기로 했으나 상반기가 지난 7월 현재 8개 지역 1천1백72가구만 착공, 목표의 17.5%선에 머무르고있다.
나머지 지역가운데 4개 지역은 주민들이 능력이 없어 사업을 포기했고 다른 지역들도 주민들이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사업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연내착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 같은 사업부진은 서울시가 실적을 높이기 위해 주민들의 능력을 고려치 않고 목표량을 너무 많이 책정한데다가 건축비가 지난해보다 20∼30% 늘어난 데 비해 정부융자금은 같은 수준이어서 영세주민들이 건축자금을 마련하지 못하고있기 때문이다.
「아파트」의 경우 건축비가 지난해 평당40만∼50만원 선에서 50만∼60만원으로 20∼5%, 단독주택은 34만원에서 45만원 선으로 30%나 오른데 비해 국민주택 융자금은 단독주택 2백 만원, 연립주택 2백50만원, 「아파트」3백만원으로 작년과 똑같아 주민부담이 크게 늘었다.
또 주민들을 대표해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던 추진위원회 간부들이 주민들의 적립금을 유용하거나 횡령하는 등 사고가 잇달아 주민들의 불신감이 높은 것도 사업부진의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재개발사업목표량을 21개 지구 3천4백46가구로 당초목표의 51.6%로 축소조정하고 각 구청에 이를 적극 추진토록 지시했다.
축소조정된 재개발사업지역은 다음과 같다.
▲묵정동 1백90가구 ▲쌍문동 2백 가구(1백 가구 착수) ▲월영동 1백24가구▲연희3지구 2백 가구(60가구 착수)▲홍제9지구 64가구 ▲역촌지구 3백22구 ▲자양지구 1백28가구 ▲전농1지구 1백84가구(이상 사업착수) ▲효창 2지구 1백20가구 ▲돈암3지구 1백 가구 ▲돈암2, 4지구 1백 가구 ▲남가좌동2지구 1백70가구 ▲대신1지구 1백10가구 ▲홍은5지구 1백50가구 ▲구로동 2백20가구 ▲봉천4지구 3백 가구 ▲가약1지구 2백50가구 ▲천호동 1백14가구 ▲용산1지구 1백26가구 ▲옥수4지구 1백68가구 ▲아현1지구 1백6가구 ▲목동2천4백34가구는 별도 추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