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취율 50%선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해설>
정부는 세계 해운의 신보호주의 경향에 대처하고 우리 나라 해운세력의 신장에 따라 우리 선박에 우리 수출입화물을 싣는 적취율을 보장받기 위해 「프랑스」 「노르웨이」등 선진 해운국과 해운협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지난해 양측의 이견이 크게 엇갈린 미국과는 오는 9월 미 상무성 실무대표진이 내한할 때 한미 해운회담을 재개키로 했다.
당국자는 지난해 8월 우리 나라가 「웨이버」 (국적선 불취항 증명서) 제도를 실시해 우리 나라를 운항하는 선박에 규제를 가한 이래 선진 해양국을 비롯해 「싱가포르」·대만·「방글라데시」·「이란」 등에서 해운협정 체결을 교섭해 오고 있다고 말하고 각국과 해운협정을 체결해 정기선의 경우 현재 30%정도밖에 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선박의 적취율을 82년까지는 40%까지, 전체 선박의 적취율은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미 항로의 경우 미측의 자유경쟁정책으로 총 물동량 3백만t 가운데 우리 선박의 적취율은 16.5%밖에 되지 않으며 미국이 33%, 일본이 22%를 차지하고 있다. <김영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