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문화권개발|9월부터 착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백제문화권개발계획에 따른 공주·부여·탄산등지의 문화재보수정화사업이 오는 9월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된다.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최근 7억원의 예산을 투입, 공산성·부소산성·미륵사지등의 발굴조사및 보수정화를위한 주변 토지매입과 성내민가들의 보상철거를 금년말까지 완료하기로했다.
이같은 백제문화권내의 문화재사업은 백제문화권개발문제가 거론된후 정부당국이 처음으로 착수하는 구체적 사업이란 점에서 큰의의를 갖는다.
각지역별로 배정된 예산은 공산성=1억5천만원, 부소산성=2억5천만원, 미륵사지=3억원이다.
문공부가 3개년계획으로 착수하는 백제문화권개발을 위한 문화재사업은 오는 9월까지 항공촬영과 당해지역 군청의 협조를 받아 지적측량을 완료한후 기본설계및 사업물량을 확정할 계획이다. 사업계획의 최종확정은 문화재위원회의 현지답사등을 통한 면밀한 심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배정된 7억원의 예산은 이같은 문화재위의 심의가 끝나 기본설계및 사업량이 확정된후 투입된다. 그러나 배정예산중의 일부는 역내측량및 기본설계를위한 용역비로 이미 지출됐다.
사업추진은 우선 이들 3개 문화재 정화구역내의 사유지를 매입하고 보존지역저촉가옥및 건물등의 보상철거를 늦어도 11월초부터는 착수할 예정이다.
공산성의 보수정화는 현재 공북루쪽에있는 20여동의 민가들과 주변의 산성언덕에 이루어놓은 밭등을 모두 매입 철거하고 이들 민가와 연결돼있는 서쪽산성진입로를 폐쇄하고 남문쪽의 진입로를 넓혀 입성관문으로 한다는 것이다.
부소산성도 부여박물관뒤의 성내 민가들을 보상 철거시기고 주변을 정화한다.
미륵사지는 서탑의 보수와 함께 동탑을 새로 복원하고 사지내 토지를 매입, 정화할 예정이다.
문공부는 이같은 백제문화권내의 제1차 문화재보수정화사업에 이어 내년부터는 발굴조사및 각 단위문화재에대한 보수사업을 적극 전개한다. 제2, 3차 사업에서는 문화재의 발굴조사사업에 역점을 둔다는 것이다.
원래 백제문화권은 경주등지의 신라문화권과는 달리 보수정화가 시급한 표출문화재보다는 부여 정림사지, 익산 왕궁리석탑, 보령성왕사지등 발굴조사를 선행해야할 문화재들이 많다.
그래서 백제문화권내의 문화재사업은 문화재관리국과 국립중앙박물관등의 중앙발굴단은 물론 서울대·충남대·공주사대·원광대등의 백제문화연구소등이 대거 참여하는 광범한 발굴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들 각 발굴「팀」은 공주 부여 익산 보령등지의 백제문화재및 서울 한강유역의 백제유적지들을 각각 분담해 발굴조사 한다는 것이다.
제2, 3차 문화재사업에서 단위문화재로 보수정화될 백제유적은 공주 무령왕릉일대의 송산리 고분공원조성, 공주 대통사지 주변정화, 부여 능산리 고분공원조성, 익산 왕궁리석탑과 보령 성주사지등이다.
이밖에 공주 마곡사와 갑사, 부여 무량사등에 보존돼있는 단위문화재들도 보수정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들 사찰의 보수정화는 자체부담을 원칙적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일부를 국고에서 보조한다는 방침이다.
문공부당국은 백제문화권개발에는 경주에서 빚었던 행정개발위주의 시행착오를 수정하고 역사환경을 보다 온전히 보존할수있는 고도개발을 위해 사업추진에 신중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그래서 모든 백제문학권내의 문화재사업은 계획의 입안부터 학계의 중지를 모아 성안, 결정하고 사업진행도 졸속을 절대 삼간다는 것이다.
문화재관리국은 특히 단기적 안목의 전시효과를 노려 시간에 쫓기는 문화재개발사업을 백제문화권개발에서는 절대 추진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