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카터」미국대통령의 방한이 확정됨으로써 미구에 한미정상회담이 열리게 되었다.
박동선 사건·철군문제 등으로 빚어진 한미간의 「불편했던 관계」가 이로써 공식적으로 종식되고, 더욱 굳어진 기반 위에서 새로운 협력관계를 쌓아 나가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는 양국정상회담이 열리게 된 한반도 및 국제정세의 배경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반도 문제에 관한 1차 적 관심은 당연히 북괴군사력 문제와 그에 따른 철군조정문제에 집중된다. 일부외신은 「카터」대통령이 방한 중 철군계획의 변경을 공식선언 할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성급한 결론은 삼가더라도 남북한 간 군사력균형의 유지문제와 그 추진방법에 관해서는 양국간에 시급한 견해일치가 요망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최근 중공에 의한 「중·소 우호조약」의 폐기선언이 있은 후 중공·소련의 경쟁적인 북괴지원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한반도의 군사력균형 유지와 이에 대한 미 측의 책임·역할에 관한 명백한 입장표명은 한반도 주변정세의 평화적 정착을 위해서 가장 절실한 요청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은 또 최근 시도에 그치고만 남북대화의 촉진을 위해서도 중요한 요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무회담이 아닌 정상회담에서 구체적 논의를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렇더라도 이 문제에 관한 확고한 원칙의 제시만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주한미군철수계획에 이은 대만의 고립화, 중공·월전의 발발, 「아시아」지역에서의 소련군사력증강 등 일련의 사태발전이 있을 후 「아시아」지역의 사방 측 국가간에 조성되고 있는 불안감이나 대미불신감을 생각하더라도「카터」대통령의 방한은 의미가 크다. 동북아의 대공전선인 한국에 대한 미국결의의 다짐이 이 지역국가들을 안도시키는데 끼칠 효과는 과소 평가할 수 없으며, 「카터」대통령의 중요한 방한목적의 하나도 바로 이점에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최근 중동정세를 다소 안정시킨 미국으로서는 관심의 다음 눈길을 이 같은 「아시아」지역, 특히 분쟁가능성이 있는 한반도에 들리는 것은 당연한 순서일 것이며 한반도정세의 안정을 위한 「카터」대통령의 구상이 어떻게 표명될지 주목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터」대통령의 이번 방한은 이 같은 국제정세에 대한 양국의 공동인식과 공동이익의 발견을 위한 중요한 기회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우리는 북괴군사력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주변정세에 대한 미국의 재평가작업의 결론이「카터」대통령 방한에 의해 공표 되지 않을까 보고 그 내용을 주시코자 한다.
「카터」대통령의 방한은 이에 앞서 5월초에 있을 「발트하임」「유엔」사무총장의 남북한순방과 함께 한국외교의 입장을 어느 때보다 유리하게 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 같다.
평화정착 보다는 「혁명」을 내세우면서 끈질긴 대미접근과 현상변경을 획책해온 북괴로서는 「카터」대통령의 방한과 「유엔」사무총장의 노력으로 빚어지는 새로운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서로 자세변화를 강요당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발트하임」총장의 남북한방문은 남북대화를 위한 노력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심색적인 성격인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노력 역시 평화를 추구하는 것임이 분명한 이상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한국으로서는 유연한 자세로 이 기회를 충분히 활용할 준비를 갖춰야 할 것이다.
「카터」대통령의 방한결정을 거듭 환영하면서 더욱 강화되는 한미관계의 새 장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