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미」의 대부분은「정부미」주부들의 일반미 열은 이유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일반미 열풍이 풍년 속의 쌀값 상승을 부채질하고있다. 「아끼바레」등 재래 일반미 생산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데 일반미를 찾는 소비자들의 광적인 일반미 기호와 취향으로 정부미를 일반미로 속여 파는 등 가짜 일반미가 판치고있다. 이 때문에 밥맛이 좋은 신품종 정부미(한 가마 2만8천5백원)가 일반미로 둔갑, 가마당(80㎏) 최고 4만8천원까지 올랐고 거래도 음성화하고 있다.
26일 서울시내 양곡상에 따르면 작년 추수기 전인 8, 9월의 단경기에도 가마당 3만5천원을 넘지 않았던 일반미 값이 요즘은 1만∼1만3천원이 올라 4만5천∼4만8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그나마「아끼바레」로 대표되는 진짜 일반미는 사기가 힘들어 시중 단골 양곡상들에게 계약금까지 주어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 들어 일반미 값이 이처럼 폭동 하는 것은 예년에 없이 생산량이 줄어든 때문, 당국 집계에 따르면 재래 일반미 생산량은 76년 1천8백23만섬(전체생산량의 50.3%) 77년 1천6백9만섬(38.6%)에서 작년에는 절반수준인 8백77만섬(21.8%)으로 격감했다.
이 가운데 생산농가의 자가 소비량이 3백20만섬. 결국 나머지 5백57만섬이 전국 대도시에 출하되고 있는 셈이다. 더우기 정부가 일반미 최고가격을 3만5천원에 묶어놓고 있는 데다 새마을 금고에서 학자금 등을 쉽게 융통할 수 있어 농가에서 일반미 출하마저 기피하고 있어 일반미의 하루 서울 반입량이 1천∼3천 가마에 불과한 실정이다.
서울에서 하루 쌀 소비량은 모두 3만4천여 가마. 정부미 방출량이 3만2천여 가마로 일반미로 충당되는 것은 고작 2천여 가마 정도다.
결국 16가마중 한 가마골(6%)로 진짜 일반미가 있는 셈이다.
가정주부 정순임씨(42·서울 서대문구 연희동)는『양곡상에「일반미 없음」이란 팻말이 붙어 있지만 4만8천원만 주면 일주일 안에 구할 수 있다』고 했다.
또 김영선씨(38·서울 용산구 복남동)는 『노인들이 하도 밥맛이 없다고 해 4만9천원을 주고 일반미 한 가마를 들여놓았더니 밀양 품종과 일반미가 반씩 섞여 있었다』고 했다. 일주일씩이나 기다려 비싼 돈을 주고 산 일반미가 결국은 모두 가짜 일반미다.
양곡상 김모씨(48·서울 마포구 간교동)는 『대부분의 손님들이 일반미만 찾기 때문에 할 수 없이 가짜 아니면 혼합 일반미를 팔고 있다』고 했다.
농수산부 당국자는 정부미 신품종인 밀양23호나 유신 벼는 맛이나 영양에 있어 일반미보다 조금도 손색이 없는 만큼 일반미 암거래 가격보다 2만원이 싼 정부미(2만8천5백원)를 사들여 상인들의 농간에 속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 강남구 서초동 중앙양곡 협회 송갑식 회장은 정부 당국의 최고가격 통제로 농민→도매상→서초동 도매시장→소매상의 정상적인 유통 질서가 이루어지지 않아 변칙 거래가 성행하고 있다고 지적, 최고 가격을 해제하여 일반미 값을 시장 기능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