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안보리 회의 촉각

중앙일보

입력

북한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오는 9일 북한의 NPT 탈퇴 문제를 논의키로 한데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일 외무성 대변인이 성명에서 "조선반도 핵문제를 유엔안보리에서 취급하는 그 자체가 곧 전쟁의 전주곡"이라고 비난한데서는 반발 분위기까지 엿볼 수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7일 "북핵 문제가 미국 주도의 다자협의 구도로 흘러가는데 대해 북한이 북.미 양자해결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그러나 지난해 12월 핵 동결 해제선언 이후 국제원자력기구 사찰관 추방과 NPT 탈퇴선언 등 단계적으로 수위를 높이던 핵 관련 조치를 최근 들어 자제하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미국의 이라크 공습에 따른 국제정세의 변화를 관망해야겠다는 입장인 듯하다. 한.미 등 관련국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확언하고 있지만 북한은 "이라크 다음은 북한 차례"라며 긴장하는 태도가 역력하다. 7일 평양에서 시작하려던 10차 남북 장관급회담에 불응한 것도 노무현(盧武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측의 대북공조 움직임을 좀 더 지켜보려는 호흡조절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런 분위기들을 감안할 때 북한이 NPT탈퇴 효력발생 기한(3개월)인 10일을 계기로 극단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작다.

무엇보다 지난 1월 10일을 탈퇴선언 기점으로 보는 서방의 시각과 북한의 주장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북한은 1993년 3월 NPT탈퇴를 선언했다 유보한 상태라는 점을 내세워 지난 1월 탈퇴선언과 동시에 효력이 발생했다는 논리를 고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50여일간 공개활동을 자제하며 장고(長考)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카드를 내놓을지 주목하라고 강조한다.
이영종 기자yj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