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수징오염 대책안」경기도와 합동으로 구성계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는 경기도관내에서부터 흘러드는 중랑천·탄천·안양천의 정화없이는 한강의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막기 어렵다고 판단, 앞으로 경기도와 합동으로 한강수질오염방지대책위원회를 발족시킬 계획이다. 서울시 당국자는 19일『중랑천·탄천·안양천등의 정화가 앞서지 않는 한 한강수질보호는 백년하청』이라고 지적, 서울시와 경기도가 참여하는 한강수질오염방지 대책 위원회의 발족을 구상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환경당국은 이에 앞서 19일 중랑천 수질조사단을 경기도에 파견, 중랑천주변에 흩어져있는 공장가운데 악성폐수를 흘려 보내고 있는 13개 공해업소의 하수구에서 폐수를 채취, 시립보전연구소에 오염도 조사를 의뢰했다.
시는 이 조사 결과가 나오는대로 경기도와 검찰당국에 통보, 조치토록하고 11월중에는 탄천과 안양천상류의 오염도를 조사키로 했다.
의정부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중랑천(선양동∼호원동간)은 길이8.5km, 폭1백∼1백20m, 수심30∼40(평상시)로 항상 검푸른 유독성폐수가 한강으로 흘러들고 있다.
중랑천주변에 흩어져 있는 경기도내 공장은 35개소로「펄프」·모직·제지·염색등이 주업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의 업소가 폐수정화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화공약품찌꺼기등 악성폐수를 그대로 방류하고 있다.
이때문에 중랑천은 이미 오래전부터 「죽음의 개울」로 변했으며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오염도가 심각하다.
특히 중랑천하류에 자리잡은 의정부시 분뇨 「탱크」는 하루 50여t을 처리하고 있으나 정화시설이 작동되지 않아 분뇨가 강물에 그대로 흘러내리고 있다.
또 의정부시 당국에 따르면 시내 수세식변소를 갖추고 있는 4천여 가구 가운데 정화조시설이 제대로 된 곳은 3백가구뿐으로 대부분 생분뇨를 하수구로 흘려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곳 공장들이 공해방지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는 것은 대부분 영세업체인데다 이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시설물의 신축 또는 증·개축이 어렵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