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합동친선 동경대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일합동 친선대회가 20일 일본 동경에서 열렸다. 작년의 서울대회에 이어 두번째의 모임이다.
이 대회는 양국에 각기 도현별로 조직되어 있는 한일친선협회와 일한 친선협회의 합동 모임이다. 양국 친선협회는 한일의원연맹 회원들을 주축으로 정계·재계·학계·종교계·법조계·언론계등 각계 인물들로 구성중에 있다.
이번 합동친선대회가 특히 관심을 끄는 까닭은 일·중공 평화우호조약의 비준서 교환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상황과 시기 때문이다.
평화우호조약의 체결로 상정되는 일·중공의 밀착은 우리에게 엎어놓고 위험하달 수도 없지만, 덮어놓고 좋다고만 보기도 어렵다.
일·중공의 접근은 장기적으로 양측이 모두 깊은 이해관계를 지닌 한반도에서 급격한 현상 변화를 꾀하려는 분위기를 조성할 전망이 있긴 하다.
그러나 공식적인 중공의 북괴 통일노선 지지 태도가 쉽사리 바꾸어지리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
또 일·중공의 접근은 우리가 일본을 통해 중공에 「로비」를 할 수 있는 길도 열릴 수 있겠지만, 마찬가지로 북괴도 중공을 통해 일본에 「로비」를 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수상의 교체 가능성을 포함해 일본 정권의 유동성은 남북한의 일·중공에 대한 삼각 「탐색」에 있어 우리의 불안 요소일 수도 있다.
이렇게 우리에게 반반 정도의 위험부담을 지닌 일·중공 접근을 어떻게 유리하게 활용하느냐는 앞으로 우리 외교의 한 중요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일·중공이 밀착한다고 해도 거기에는 체제와 발전 단계의 차이에서 오는 엄연한 한계가 있다.
체제가 다른데 정치적 합작이 이룩되기 어렵고, 발전 단계가 다른데 수평분업적 협력관계가 광범하게 생겨 날리도 만무하다.
일본이 「플랜트」 와 기술을 공여하는 대신 받아들이기로 된 중공산 원유만 해도 일본에서는 별로 필요치 않은 중질유라지 않는가.
그러나 아뭏든 중공은 근대화를 위해 미·일과 서구의 협력을 절박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때문에 하려고만 들면 일본은 대중공 협력을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위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
일본이 한반도의 안정을 위해 그러한 위치를 십분 활용해 주었으면 한다. 그런 뜻에서 「후꾸다」 일본수상이 22일에 일본을 방문할 중공 부수상 등소평과의 회담에서 한반도문제에 대한 일·중공의 견해차를 좁히도록 노력하겠다고 한 발언은 주목할 만 하다.
이에 관련해 일본이 대북괴 관계에 있어 중공의 대한 태도의 「페이스」를 염두에 두어 주기를 당부한다.
또 우리측도 일본을 통한 대중공 탐색활동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일본 자체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증진 활동을 벌여야 하겠다.
일본의 정권이 유동적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 적어도 보수 및 중도세력의 어느파가 정권을 담당하든 친한 기조가 확고히 유지 되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일 두 나라의 각계인사가 모인 이번 동경 친선대회가 이런 면에서 좋은 열매를 맺기를 기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