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의 내실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년도 대학입학 정원의 엄청난 경원에 따른 문젯점이 고리를 물고 제기되고 있다.
5만명이란 엄청난 정원증가를 어떻게 수용, 교육시킬 수 있느냐에 대한 고민이다.
서울 36·6%, 지방63·4%의 대학정부 지성 분포에 따라 우선 지방대학들이 교수와 강의실등 교육시설 부족으로 크게 당황하고 있다.
교육은 교수 확보와 교욱시설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 요건은 고등기술인력의 재산이라는 교육목표가 시급하고 크면 클수록 더욱 긴요한 전제조건이다.
문교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현재 전국 90개 국·공·사립대학의 교수 법정 정원은 1만8천9백77명인데 확보된 교수는 1만2백15명으로 정원의 54%밖에 안되는 실정이다. 현재도 평균 46%의 교수 부족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대폭 증원되는 내년도 신입생을 위해서는 적어도 9천명의 새로운 교수 요원이 확보돼야 하는 만큼 사정은 더욱 긴박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교수양성에는 최소 10년, 교육시설 마련에도 적어도 1∼2년은 걸러야 하기 때문이다. 교수학보를 위해 대학원 증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며 시설 보완도 서둘러야 하겠다.
이러한 전제조건이 뒷받침되지 않은 대원은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고급인력수급이란 요구에도 부응하기 힘들다.
문교부는 증원에 병행하여 3백84억원을 지방 국립대학의 시설비로 투자하고 교육차관 1천5백만「달러」로 실습 기재를 도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방 사립대학의 경우는 학교재단 부설로 시설투자를 할 여유조차 없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현재의 학교운영 실태로 보아 공납금에 의한 시설투자란 생각하기 힘든 형편이다. 그렇다고 증원된 대학정원을 핑계로 내년도 사립대학의 공납금을 대폭 인상시켜 주어서도 안될 일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난제를 앞에 둔 문교부로서는 증원에 따른 과감한 지원대책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현재 인력이 모자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인력의 절대수가 부족한 것이 아니고 필요한 분야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인력이 부족한 것이다. 그러니 만큼 고급인력 양성을 산업발전에 발맞추자면 실상 교육에서는 운보다 질이 앞서야 될 것이다.
이러한 높은 질의 고등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교수확보에 있어 유명교수의 지방순환제를 권장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순환교수제는 실상 오래전부터 실시해 왔으나 별로 큰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그것은 순환교수의 대우문제를 비롯하여 주거문제등 복지문제가 뒤따르지 못한데 중요한 원인이 있었다.
차제에 그 원인을 종합검토, 개선하여 순환교수제의 효율적 실시를 촉구한다.
한편 미국을 비롯한 외국에 나가 현재 교편을 잡고 있는 우리나라의 해외교수들의 초빙도 적극 추진해야 하며 한 걸음 나아가 외국인 교수의 초빙도 점차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일부 지방대학에서는 부족시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기제의 활용을 임시 방편으로 내놓고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발등에 불을 끄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사립 지방대학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없는 한 내년도 대학 증원은 숫자놀음에 지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커다란 위험성을 안고 있다.
대원에 과감했던 정부인만큼 종합지원대책 마련에도 과감하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