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하원서 일본군 위안부 사과 촉구

미주중앙

입력

연방하원 본회의에서 로레타 산체스(민주·가주 47지구·사진)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일본정부의 배상과 공식 사과를 촉구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오렌지카운티가 지역구로 국토안보위원회 소속인 산체스 의원은 22일 하원 본회의에서 일본의 잘못된 역사인식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란 이름으로 자행된 성범죄를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산체스 의원은 이날 공식성명서를 통해 "일본군에 의해 성노예로 강제 동원된 피해 여성들이 지금까지 공식 사과도 받지 못한 채 70여 년이 넘도록 고통을 겪고 있다"며 "일본정부는 지난 2007년 통과된 '연방하원 위안부 결의안(HR121)'의 권고사항을 이행해야 한다.

피해자들은 사과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일본군 위안부는 끔찍한 인권침해'라고 언급한 것을 인용하며 "군대 위안부 문제가 군사 분야와 관계 없는 역사적 분쟁이란 일부 시각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산체스 의원의 이같은 입장 표명은 본회의 의사록에 공식 등재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의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공론화돼 일본정부의 사과를 이끌어내는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그는 "20만명이 넘는 아시아 여성들이 무자비하게 성 노예로 끌려갔다. 그중 현재 생존자는 100명 미만"이라며 "여성인권을 중시한다는 차원에서 봐도 일본정부의 공식사과는 꼭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산체스 의원은 연방하원의 지한파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Korea Caucus)'의 민주당 측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한편 산체스 의원 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큰 목소리를 내는 가주 출신 하원들은 지난 2007년 HR121을 상정·통과시킨 마이크 혼다(민주) 의원과 에드 로이스 연방하원 외교위원장(공화), 지난 4월 평화의 소녀상을 방문한 애덤 쉬프(민주) 의원 등이 있다.

구혜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