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 세황시설 연기 요청-정유업계 자금 부담 가중 내세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오는 81년부터 실시하려던 유류의 탈황 시설 의무와 방침이 정유업계의 원유 도입선 다변화 계획에 부닥쳐 어렵게 될 것 같다.
2월말까지 탈황 시설에 대한 계획서를 정부에 제출토록 지시를 받고있는 정유업계는 최근 유황분이 적은 「인도네시아」의 「미너스·오일」을 도입한다는 조건으로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탈황 시설 설치계획을 재검토해 줄 것을 정부 당국에 요청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5만「배럴」의 탈황 시설을 하는데 약1억5천만「달러」의 시설비가 소요되고 있어 자금조달 방법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약20%의 공급가격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유황분이 거의 없는 「인도네시아」원유를 도입하여 대치한다는 것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원유는 중동산보다 「배럴」당 1「달러」가 비싼 13·4「달러」선이지만 탈황 시설을 할 경우 「배렬」당 4「달러」의 추가 부담이 불가피하여 소비자 부담은 결국 「인도네시아」산이 3「달러」정도 싸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인도네시아」원유를 주로 도입하던 일본이 최근 중간으로 도입 선을 바꾸어 「인도네시아」는 대한 원유공급에 상당히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있고 「걸프」와의 원유공급 계약도 유공의 경우 총 8억5천만「배럴」중 2월말 현재 6억1천5백만「배럴」을 이미 도입, 2억3천5백만「달러」밖에 남지 않아 80년까지는 끝나게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정유업계는 「인도네시아」원유를 도입할 경우 우리의 원유 수입시장이 다변화되어 장기적인 안정공급의 측면에서 볼때에도 유리하다고 주장, 탈황 시설 의무화 계획을 재검토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동자부 측은 이미 작년 11월 석유사업법 17조의 조경권 발동으로 탈 황유 생산을 늦어도 81년까지는 정유업체가 해야한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밝히고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장기 안정 공급에 대한 확실한 전망도 없는데 탈황 시설 설비를 늦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동자부의 한 관계자는 18일 『정유업계가 탈황시설 설치를 늦추기 위해 재검토를 희망하고있을지는 몰라도 정부 방침에는 현재까지 아무런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