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만 가구, 집 살 의향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500만 가구 이상이 집을 살 여력이 있고, 이들 가운데 300만 가구는 집을 살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정책만 잘 펴면 얼마든지 주택 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얘기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가 568만7000가구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전체 가구의 셋 중 하나(31.3%)꼴이다. ‘여력’은 보유 중인 금융자산에 적정 수준의 대출을 합한 금액이 주택 실거래가 평균보다 많은 경우를 의미한다. 적정 수준의 대출은 원리금 상환액이 가처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채무상환비율)이 20.8% 미만인 경우로 한정했다.

 이번 조사에서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의 지난해 말 기준 채무상환비율은 4.4%에 불과해 가계부채를 부동산 시장 침체의 원인으로 삼는 기존 분석과 차이가 났다. 특히 이렇게 분류된 집 살 여력 있는 가구의 절반 이상(55.8%)인 317만 가구는 여유 자금이 생길 경우 부동산에 투자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처럼 집 살 여력이 있는 가구의 65.5%는 비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74%는 이미 집이 있는 상태였다. 주택 시장을 되살리려면 지방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와 임대용 주택에 대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제도와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상당수 가계를 주택매매 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집 살 여력이 있는 무주택자에 대해서는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금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유주택자에 대해서도 임대소득 목적의 주택 구입을 장려하고, 상속 관련 세제의 개편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