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압지서 파내 버린 흙 속서 유물 3백여점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경주】지난해 경주안압지(사적 18호)발굴로 파서 옮긴 흙더미 속에서 기왓장 전들 및 석재 등이 대량 발견돼 그 발굴이 허술하게 마구 파낸게 아닌가 의구를 자아내고 있다.
안압지 바닥의 흙 속에서는 그 동안 신라 때의 유물 1만7천여점을 채집했는데 거기서 나온 약 1천6백 입방 m의 흙을 논 밭 객토용으로 시내 여러 지역에 반출했었다.
지난해 12월 도진 건설을 통해 반출된 흙 가운데 남산동 임업시험장의 경우, 1천5백「트럭」분을 받아 3분의1을 토지에 넣는 동안 와당과 석재 등 3백여점의 유물을 발견, 발굴조사단에 넘겨주었다.
또 경주시 동천동 북천강 유역 정지사업장에 버린 흙더미 속에서도 기와 등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나 주민들이 골동품상에 팔아 버렸다는 것.
이 같은 사실로 미루어 다른 지역에서도 더 많은 유물이 있었을 것이나 당국에는 아무런 신고가 없다.
이에 대해 학계 관계자들은 안압지 발굴이 해방 후 가장 큰 발굴이며 신라 때의 생활문화를 확인하는 결정적인 보고였다는 점에서 이들 유물 유출사실을 한층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보물찾기 식의 발굴을 서두를게 아니라 당초부터 차근하게 진행했어야 했다고 발굴 당국의 자세를 비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