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주체는 독자 정부가 나서선 안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론학자들은 "민주주의에서 언론은 권력과 친구 사이가 아닌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는 게 오히려 정답"이라며 "언론 개혁의 주체는 독자(시청자)여야지 정부가 돼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김정기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언론에 권력 속성이 있다는 걸 부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참여정부는 언론에 피해의식이 큰 것 같다. 군소 미디어들을 참여시키는 것도 좋지만 특정 언론을 배제하고 적대시하는 것은 참여정부 이름에 걸맞지 않은 행동이다. 특히 어떤 명분이라도 기자의 취재를 제한하는 정부 조치는 바람직하지 않다. 문제가 발생하면 상황에 따라 대처하면 되는 것이지 목적을 세워놓고 언론에 접근하는 것은 문제다.

▶권만우 경성대 디지털디자인 대학원 교수=요즘 기자들의 경향은 많이 바뀌고 있다. 예를 들어 촌지를 당당하게 챙겼다가는 기자사회에서 매장되는 분위기다. 물론 개선돼야 할 부분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언론 개혁에 정부가 나서서는 안된다. 민주주의에선 정부와 언론간에 적대적 모델이 더 바람직하다. 개혁의 주체는 독자가 돼야 한다. 예전엔 불가능했지만 이젠 독자들이 세력화할 수 있는 길이 생겼고, 실제로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신문사들도 독자 중심의 경영을 내세우고 있다. 참여정부는 개혁의 화두를 던졌으니 뒤로 물러나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정부가 언론을 개혁해선 안된다.

▶김학수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재야 시절과 후보 시절, 그리고 대통령이 된 상황에서의 발언 수위는 달라야 한다. 대통령의 한마디가 워낙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공적인 자리에서 '소주…'운운의 언론관을 피력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언론학회에서 빨리 쟁점을 정리해 논의할 상황이라고 본다. 무차별적으로 쏟아지고 있는 언론 정책이 바람직한지 정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황우권 대진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언론은 국민들에게서 권리를 위임받아 정부에 대한 감시와 비판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 차원에서 언론을 이해해야지 언론을 적으로 설정해서는 곤란하다. 언론의 잘못만 부각시키는 건 지나치게 방어적인 차원이다. 참된 언론 자유로 나가기 위해 긍정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정부가 통제만 앞세운다면 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근간인 언론 자유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