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괴, 유엔결의안 돌연 철회-공산측 공동발의국에 요청 서방측도 철회준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유엔본부 20일 로이터합동】북괴는 앞서 「유엔」사무국에 제출된 한국문제에 관한 공산측 결의안에 제출된 한국문제에 관한 공산측 결의안의 34개 공동발의국들에 이 결의안을 철회해 줄 것을 요청, 공산측 공동발의국들은 이를 수락했으며 이에 따라 서방측도 그들의 한국문제 결의안을 철회하게될 것 같다고 「유엔」본부의 정통한 소식통들이 20일 전했다.
이 소식통들은 북괴의 이러한 요청이 전달되자 공산측 결의안 공동제안국 중 먼저 동구공산국 대표들이 이 문제를 거론, 북괴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으며 뒤이어 공산측 결의안 공동발의국 중 비동맹국가들도 북괴의 요청에 동의할 뜻을 시사했다고 밝히고 공산측 결의안을 철회하기로 한 이유를 밝히는 공식서한 21일 중으로 「유엔」에 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들은 공산측이 그들의 결의안을 정식으로 철회하면 서방측도 그들의 한국문제결의안을 철회하게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금년 제3l차 「유엔」총회에서는 한국문제가 전혀 토의되지 않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들은 북괴의 이러한 갑작스러운 행동은 북괴의 내부사정, 그리고 금년 「유엔」총회에 한국문제를 상정해 보았자 작년 「유엔」총회와 같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결론에서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밖에 지난번 「콜롬보」에서 열렸던 비동맹정상회담의 결과가 북괴의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고 이 소식통은 말했다.
콜롬보 비동맹 정상회담과 판문점사건 후 북괴는 이곳에서 아주 어려운 입장에 처해왔으며 서방측은 올 총회의 한국문제토의결과에 자신이 있다고 표명해왔다.
만일 친북괴의제가 철회되면 이는 28년간에 걸친 「유엔」의 한국문제토의사상 처음 있는 일이 된다.
1971년과 72년에는 「유엔」 총회의 결정으로 한국문제 토의가 1년간 연기됐었다.
【유엔본부 20일 합동】북괴는 20일 한국문제에 관한 친북괴안건의 공동발의국들로 하여금 제31차 「유엔」총회 잠정의제에서 이 안건을 철회케 할 방침임을 「쿠르트·발트하임」 「유엔」사무총장에게 통고했다고 「발트하임」측근 고위「유엔」소식통이 20일 밤 확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