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문턱 한·미·일 낮추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6자회담 재개로 가는 문턱이 낮아지고 있다.

 한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8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한·미·일 3국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하되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 재개 방안도 논의했다”고 말했다. 6자회담은 2008년 12월을 마지막으로 5년이 넘도록 열리지 않고 있다.

 황 본부장의 발언과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정부 고위 당국자는 “7일 열린 한·미·일 3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 대화 재개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고, 앞으로도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선 “북한에 요구해온 비핵화 사전조치에 대해 조금 더 유연성을 갖기로 했다”며 “아직은 추상적으로 말할 수밖에 없지만 어느 정도 선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비슷한 메시지가 미국 쪽에서도 나왔다. 빌 번즈 미 국무부 부장관은 이날 뉴욕의 아시아소사이어티 초청연설에서 “우리는 북한에 대한 제재를 유지하는 동시에 외교적인 해법의 가능성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번즈 부장관은 “국제사회에 진지하고 신뢰성 있게 약속을 이행한다면 누구와도 대화할 것”이라며 “버마와 이란이 그랬듯이 북한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외교가 말에서 시작된다고 볼 때 일단 말의 뉘앙스가 전과는 다르다.

 북한 핵 문제를 대하는 한·미·일 3국의 태도가 달라진 건 북한의 4차 핵실험 위협 등 추가 도발이 갖는 시급성과 심각함 때문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핵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는 것을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며 “북한이 협상에 나설 여지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구체적인 그림이 만들어지려면 무엇보다 중국과의 협의가 중요하다”며 “조만간 중국 측과도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