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관리 기구 구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민당의 당헌 개정 심의7인소위는 전당대회 관리 기구 구성에 합의한데 이어 13일 국회 신민당 총재실에서 3일째 회의를 속개, 주류·비주류간에 큰 쟁점이 되어 있는 대의원 1백명의 선출 방식과 김영삼 총재가 임명한 중앙 상무위원 30명의 자격 문제를 중점 논의했다.
7인위는 이날 늦게까지 절충 작업을 벌여 14일 열리는 정무회의에 그 결과를 보고한다.
12일 B「호텔」에서 모인 2차 회의는 주류와 비주류 각각 의원급 3명, 실무자 5명 등 16명으로 전당대회 준비 기구를 구성한다는데 합의했으나 대의원 1백명 선정, 중앙 상무위원 30명의 처리 문제에는 의견 접근을 보지 못했다. 전당 대회 준비 기구는 유치송 사무총장의 지휘를 받아 대회 진행에 관한 감시·대의원 명단 접수·대의원증 교부·대회장 입장 문제 등을 관장하기로 소위가 결정했다.
회의에서 주류측의 유치송 의원은 ①중앙상무위원 30명 중 결격자 5명을 비주류측에 할애한다 ②김 총재가 추가로 임명한 중앙당부·차장 6명에게는 대의원 자격을 주지 않는다 ③정무회의 선출 「케이스」대의원 1백명 중 중앙당 부·차장 28명을 제외한 72명을 정무위원 수대로 구분한다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비주류의 정해영 의원은 ①중앙상무위원 30명 ②정무위원 2명 ③대전 광주 등 4개 사고 지구당의 대의원 24명 ④정무회의 선출 1백명 등 1백56명을 주류화·비주류70·중도 10명의 비율로 배분하도록 요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