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TV 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상업방송을 복수로 허가하는 이유는 「프로그램」에 다양성을 주어 더 많은 「메시지」가 유통되게 함으로써 시청자의 선택영역을 넓혀주자는 데 있을 것이다.
TBC와 MBC의 「프로그램」편성도를 비교해보면 유사「프로그램」 이 너무나 많다.「드라머」와 「쇼·프로」 를 제쳐놓고도 『웃으면 복이 와요』는 『좋았군 좋았어』 와 다를 것이 없고 『여고생퀴즈』는 『장학퀴즈』 와, 『올스타·게임』은 『유쾌한 청백전』과,『토요권투』는 『챔피언·스카웃』과 비슷하다.
○…두 방송국이 시청자보다 상대국을 더 의식하여 「프로그램」 의 내용과 형식을 상대국의 그것에 준거시키는 무익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유사「프로」가 많아진다. 맹목적인 경쟁 속에서는 창의성있는「프로그램」의 개발이 불가능하다.
『웃으면 복이 와요』(MBC) 는 이제 한계점에 도달하여 시청자에게 지루하다는 감마저 준다.「프로그램」의 「포맷」 과 진행이 일정하게 정형화되어 별차가 없는데다가 소재에 바닥이나 비슷한「에피소드」가 반복되고 있다.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포맷」상의 변형을 과감하게 단행할 결단이 아쉽다.
『좋았군 좋았어』(TBC)는 오랜 방황 끝에 출발점으로 되돌아 온「프로그램」이다. 『웃으면 복이 와요』식의 「포맷」에 집착하지 말고 전혀 새로운 「코미디·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좋겠다.
○…『대학생의 광장』(MBC) 은 『우리들 세계』 (KBS)에 비해 구성과 내용 면에서 모두 뒤떨어진다. 일반시청자는 고사하고 대학생마져 외면할 만큼 엉성하다. 「위트」 와 「유머」 속에서 대학생의 발상법과 가치관이 은연중에 현현 되어야「프로그램」이 산다.
대화를 위한 TV 「프로」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그러나 상대를 의식하고 존중하는 대화만이 설득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