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동 분회 2019개 정치권도 눈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1986년 2월 서울 잠실동 교통회관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첫발을 내디딘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부동산거래를 중개하는 공인중개사의 이익과 부동산 관련 각종 제도 개선을 위한 단체(사단법인)다. 현재 회원수가 8만1000여 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전문가 단체로, 19개 시·도 지부와 215개 시·군·구 지회, 2019개의 읍·면·동 분회를 갖고 있다.

 협회는 공인중개사에 대한 공제사업은 물론 공인중개사 개설 실무교육 등 다양한 중개 관련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공제사업과는 별도로 부동산 거래 선진화를 목표로 2004년부터 거래정보망(일명 ‘탱크21’ 프로그램) 구축 같은 정보화사업도 벌여 왔다. 회원 수가 8만 명이 넘는 데다 지역별로 세분화된 조직망을 갖고 있다 보니 협회는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이 때문에 회장 취임식에는 현역 국회의원과 정권 실세들이 참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홍이 적지 않았다. 협회장 선거나 협회 운영 방식을 두고 반목을 거듭했다. 정부의 복수단체 허용 조치에 따라 1999년 한국공인중개사협회(회원 5만5000명)와 대한공인중개사협회(2만6000여 명)로 양분됐다. 그러다 조직 성격이 비슷한 두 단체를 다시 합쳐야 한다는 여론에 밀려 분리된 지 8년 만인 2007년 재통합됐다.

 그럼에도 회장의 학력위조 소송 등으로 일부 회장이 물러나는가 하면 후임 회장 선출을 둘러싼 갈등으로 세 차례 폭행사태를 빚기도 했다. 지난해 초 취임한 이해광 현 회장도 배임·횡령과 관련한 고소·고발을 당한 상태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