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정지 풀린 노회찬 … 서울시장 선거 새 변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노회찬(사진) 전 정의당 대표가 14일부터 정치 활동을 재개할 수 있게 됐다. 통신비밀보호법 유죄 판결에 따른 자격정지 기간이 이날 만료되면서다.

노 전 대표는 지난해 대법원에서 징역 4월에 집행유예 1년, 자격정지 1년이 확정돼 국회의원직을 상실했다. 노 전 대표는 트위터에 “이 길을 처음 떠날 때의 마음으로 다시 시작하겠다. 더 낮은 곳을 향해 더욱 낮은 자세로 임하겠다”고 적었다. 천호선 대표는 당 회의에서 “노 전 대표의 정치해금을 뜨겁게 환영한다”고 말했다.

 노 전 대표가 복귀하면서 정의당 서울시장 후보로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노 전 대표가 출마한다면 서울시장 선거전의 또 다른 복병이 될 수가 있다.

노 전 대표는 2010년 서울시장 선거 때 후보로 출마해 3.3%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하지만 당시 한나라당 소속 오세훈 서울시장이 그의 득표수보다 적은 0.6%포인트 차이로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이겨 야권 내에선 책임론도 뒤집어썼다. 그래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승리한 2011년 보궐선거 때는 “(2010년 상황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출마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의당은 6·4 지방선거에서 모든 광역 선거구에 후보를 내겠다고 장담해 왔다. 이번에도 출마를 결심할 경우 민주당 소속인 박원순 시장의 당락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많다. 노 전 대표는 통화에서 출마 여부에 대해 즉답을 피했지만 여운도 남겼다. 그는 “내 개인적으로 처리할 문제는 아니다”며 “오늘 (자격정지가) 풀렸는데 벌써 출마 얘기를 하느냐. 앞으로 당 얘기를 들어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야권 일각에선 서울시장 출마보다는 지방선거 후 치러질 7, 10월 재·보선을 통해 원내 복귀를 모색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