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4곳 열면 10곳 닫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산부인과 의원 4곳이 새로 문을 열면 10곳이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 숫자는 늘었지만, 산부인과와 외과는 개설 기관 수보다 폐업 기관 수가 더 많은 ‘개폐업 역전 현상’이 있었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2013년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 해 신규 개설된 의원급 의료기관은 1831곳, 폐업한 의료기관은 1536곳으로 폐업률은 5.4%였다.

의원급 전체 개설기관 수는 폐업 기관 수보다 조금 많았다. 하지만 산부인과와 외과를 살펴보면 내용이 조금 달랐다. 산부인과는 폐업기관이 더 많은 현상이 8년째 이어지고 있다.

2013년 한해 동안 새로 개업한 산부인과는 43곳, 폐업을 한 기관은 2배를 넘는 96곳이었다. 산부인과 의원만을 놓고 보면 폐업률이 6.8%에 달했다.

산부인과의 개폐업 역전현상은 2006년부터 계속되고 있다. 2006년 당시 새로 문을 연 기관은 113곳에 이었으나 폐업기관은 174곳이었다.

8년 간 산부인과의 폐업이 이어지면서 2005년 1907개던 산부인과 의원은 2013년 1397개로 줄었다.

외과도 산부인과와 유사한 현상을 보였다. 지난해 외과는 신규개설 의원이 38곳, 폐업기관이 52곳이었다.

하지만, 내과와 마취통증의학과는 신규개설 의원이 각각 165곳·71곳이었으며, 폐업의원은 내과 83곳·마취통증의학과 27곳으로 개설기관의 숫자가 훨씬 많았다.

[인기기사]

·'성폭행 혐의' C성형외과 원장 뭐하나 봤더니… [2014/01/23] 
·제왕절개 후 거즈 넣고 봉합한 산부인과 의사 경찰조사 '곤혹' [2014/01/23] 
·醫-政 협상 결렬, ‘수가 10% 인상’ 보도 때문에… [2014/01/23] 
·인종·성별에 상관없는 탈모 치료 가이드라인 발표 [2014/01/23] 
·경희대학교, 고등학생 대상 '경희의대 멘토링 캠프' 개최 [2014/01/23] 

한석영 기자 syhan@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