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방사선 규제로 불량검사 우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한영상의학회가 식약처의 'CT 환자 방사선 피폭량 기록, 관리사업'에 대해 "국민개인별맞춤형 방사선 안전관리보다는 병원별 체계적 관리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상의학회는 “식약처에서 추진하는 방안에서는 방사선검사의 필요성에 대해서 보다는 방사선 촬영의 위해성에 대해서만 강조하고, 이를 통해 환자가 필요한 검사를 포기하게 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질병의 조기진단을 가로막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환자의 혼란이 가중되고,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상의학회는 "방사선 피폭을 낮추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질병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의료방사선피폭은 반드시 필요해서 받는 피폭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원치 않아서 받는 피폭과는 분명히 다른 적극적 피폭"이라고 말했다.

영상의학회에 따르면 진단영역의 저선량 검사인 방사선촬영은 그 위험성이 직접적으로 증명된 것이 없다.실제 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보고(ICRP 보고 93, 103)에서도 “의료피폭에서 환자의 선량한도는 없다”고 명시돼 있다.

이와 함께 전 세계에 선량관련 위험성을 고지해야 한다는 규제를 하는 나라도 없다.

물론 방사선 피폭을 많이 받을 경우 암발생 확률이 증가하지만 이는 고선량을 일시에 받은 경우로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에서는 증명된 바가 없다.

또 각 검사별로 낮은 선량의 검사 등에서 어떤 위험성이 얼마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위험 정도도 분명하지 않고, 근거도 충분하지 않은 것을 마치 기정사실화 하여 설명하라고 하는 것이다.

영상의학회는 "의료기관 단위에서 관리는 필요하지만 개인 환자에게 고지하거나 기관간 비교의 대상, 또는 평가의 대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방사선 검사를 거부할 수 있고, 무조건 방사선량을 낮추려는 경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병변을 발견하지 못하는 불량검사를 유도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상의학회는 방사선 선량에 대한 병원별 체계적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업을 준비 중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각 검사에 대하여 검사의 적응증과 촬영 방법 등을 포함한 본격적인 가이드라인을 일선 의료기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배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성폭행 혐의' C성형외과 원장 뭐하나 봤더니… [2014/01/23] 
·제왕절개 후 거즈 넣고 봉합한 산부인과 의사 경찰조사 '곤혹' [2014/01/23] 
·경희대학교, 고등학생 대상 '경희의대 멘토링 캠프' 개최 [2014/01/23] 
·醫-政 협상 결렬, ‘수가 10% 인상’ 보도 때문에… [2014/01/23] 
·버거킹, 24일까지 와퍼주니어 40% 할인 [2014/01/23]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