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바라 CEO "한국 공장 고비용 개선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첫 여성 최고경영자(CEO)인 메리 바라는 14일(현지시간) 디트로이트 르네상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쉐보레 브랜드에 한국이 기여한 바가 크며, 한국이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라 CEO는 그러나 GM의 해외 생산 공장 중 ‘고비용 사업장’으로 분류된 한국GM의 낮은 생산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바라 CEO는 “노동 비용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수”라며 “계속 이 부분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GM은 수익성과 생산성을 더 개선해야 한다는 우회적인 지적인 셈이다. 바라 CEO는 그러면서도 “우리는 한국 시장에 계속 전념할 것”이라며 “수익성을 강화해 재무구조를 탄탄하게 만들고, 그 수익을 다시 재투자해 훌륭한 제품 개발이 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둘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GM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도 동시에 보냈다. 폐쇄 예정인 호주공장 물량을 한국으로 이전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밝힌 것이다. 이날 스테판 자코비 GM 해외사업 부문 수석부사장은 “호주에서 공장을 닫는 대신 한국에서 생산량을 늘릴 가능성도 충분하며 아직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도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GM은 지난해 12월 유럽에서 쉐보레 브랜드를 철수하는 것과 동시에 한국GM 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차종의 생산량을 18만여 대 감축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어 호주 GM 공장을 2017년 폐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호주 GM 공장의 생산물량이 한국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박진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