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상품의 불매 등 학생운동이 시발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방콕15일 로이터합동】학생 4백 여명이 숨진 유혈참극을 통해 마침내 「타놈·키티카촌」 원수를 수상직에서 내몬 태국학생들과 군정지도자들과의 대결은 태국의 민주정치를 부활시키기 위해 잘 조직된 학생운동의 결과였다고 정통한 소식통들이 15일 말했다.
태국학생들은 작년부터 사회개혁을 위한 연동을 전개, 여러 가지 문제에서 정부를 굴복시키는데 성공했으나 군정지도자들은 지난 주말까지만 해도 학생들에 대해 무력행사는 피해왔다.
학생들은 작년에 전국학생연합회(NSCT)를 조직, 곧 전국의 20만대학생을 규합하고 처음 일본과 태국간의 불리한 무역역조를 시청하기 위한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벌여 정부의 지지를 획득했었다.
NSCT는 금년에 들어오면서 정열적인 간사장 「티라유드·분미」군의 지도아래 헌정의 회복과 태국주둔 미군철수를 위한 새로운 「캠페인」을 전개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정부는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하고 3년 안에 새 헌법을 내놓겠다고 약속했는데 학생들은 헌법제정은 보다 짧은 시일 안에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입증하기 위해 자체의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와 동시에 학생들은 정치 지향적인 「탐마사트」대학교의 교수 그리고 다른 사회저명인사들과 밀접한 접촉을 하면서 헌정의 조속한 실현과 군사통치의 종결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 왔다.
학생들과 교수들은 자주 헌법문제와 국제정세에 관한 학술「심포지움」토론회를 개최하고 대중의 관심을 끌어들였다.
학생지도자들은 「타놈」수상 등 군사지도자들에게 헌정의 실시를 재촉하는 태국 신문인들과도 밀접하게 손을 맞잡았다.
「타놈」원수는 학생들을 어린아이로 취급, 헌법문제 같은 것은 어른들에게 맡기고 학생들이 왈가왈부할 성질의 것이 못된다는 태도를 취해 왔다.
그러나 지난주 정부는 핵심적인 학생대표와 그들의 호의적인 강사 13명을 체포하고 국가전복 음모 죄를 덮어 씌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