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시위 악화, 한국 업체들도 불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캄보디아에서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근로자들의 격렬한 시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법원이 통합야당 지도부에 대한 소환장을 발부하는 등 정국 혼란이 확산되고 있다. 캄보디아에 진출한 한국 업체들도 근로자 파업에 따른 조업 차질로 피해가 발생했다며 노조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AP통신 등은 5일 “캄보디아 법원이 최근 반정부 시위를 주도한 삼랭시 캄보디아구국당(CNRP) 대표 등 2명에 대해 소환장을 발부했다”며 “이들은 시위를 선동하고 사회 혼란을 야기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CNRP 지도자 2명은 14일까지 당국의 조사에 응해야 한다.

 앞서 파 소체앗봉 프놈펜 시장은 4일 CNRP 측에 공문을 보내 가두시위와 공원 집회를 다음 주까지 전면 불허한다고 통보했다. 국방부도 성명을 통해 “군이 정부와 국왕 및 헌법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 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맞서 야권은 훈센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며 정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나아가 이들은 “지난해 7·28 총선은 부정 선거”라며 “선거법을 개정한 후 내년 다시 총선을 치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신들은 “지난 총선 후 비교적 평화적으로 대결했던 캄보디아 정부와 야권이 극한 대립을 보이고 있어 캄보디아 정국이 점점 깊은 혼란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캄보디아에서는 지난 3일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시위대에 진압 경찰이 총격을 가해 최소 4명이 숨지고 30여 명이 부상하는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4일에도 경찰이 1000여 명의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양측이 충돌했다.

 한편 캄보디아에 진출한 한국 봉제업체들은 근로자들의 파업으로 조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프놈펜 공단에는 현재 60여 개의 한국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6만여 명의 현지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한국 업체들의 조업률은 60~70%로 떨어진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 업체들은 피해보상을 위한 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