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운영은 이렇게… 세 원내총무의 지상 좌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질서에 바탕을 둔 생산적인 국회 운영을 위해 각 교섭단체 원내총무들과 협조하는 것이 가장 큰 소임이라고 생각한다.』
10일 유정회 의원총회를 마치고 집에 돌아오자 백두진 회장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원내총무 지명 소식을 들었다는 민병권 의원은 『비정치인이 많이 섞인 유정회의 총무를 맡으니 조심스럽다』면서 말을 시작했다.
『종전의 국회는 직업 정치인이 대종을 이루였다. 그래서 자연 국회 운영은 당과 의원의 출신 지역구의 이해에 얽혀 정쟁을 되풀이했다.
새 국회는 헌법과 국회법의 개정으로 활동 범위에 한계가 지어졌다. 유정회는 정치 세력 사이의 부정적인 대립을 중화시키는 새로운 구성 요소로 들어섰다.
평화통일이란 국가적 궁극 목표가 국회의 앞길에 선정됐다.
9대 국회가 질서에 바탕을 둔 운영을 해야 함은 국가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시키느냐 실패케 하느냐의 문제가 걸린 것이다.』 이런 국회의 사명을 위해 그 구성과 성격면에서 유정회는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새 정치체제는 『국가의 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능률적인 정치를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회가 능률적이 되기 위해선 교섭단체 사이의 대화는 정책 중심으로 돼야 한다는 것』이 민 총무가 되풀이해 강조한 것.
6대 국회이래 비능률이 정책 대결에 의한 여야 관계가 못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는 그는 『각 정당이 한국의 좌표를 정확하게 파악한다면 자연히 정당의 원내 활동 「비전」이 부각 될 것이므로 앞으로도 정책 대결의 여지는 있다』는 민 총무는 『원내의 모든 세력들이 협력과 설득으로 의정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국회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이를 위해 유정회는 직능 대표적 성격을 살려 원내의 중추적 역할 뿐 아니라 직선에 의한 여당과 야당의 대립에 중재적인 역할도 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기구를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유정회는 정책위원회와 정책연구실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와 입안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유정회가 각계의 전문가들이 포함돼 있어 정책위원은 전문위원이나 자문위원 도움 없이 소속 의원들 스스로가 해낼 수 있다』고 말하는 민 총무는 『문제는 전문지식은 풍부하지만 정치 기반과 통일성이 부족한 이들에게 얼마나 빨리 공동 의식을 불어넣고 원내 활동을 위한 보다 좋은 환경을 마련해 주는가에 있는데 이것이 내가 맡아 추진해 나갈 일로 안다』고 했다.
당무위원 정책위부의장 국회국방위원 등 공화당서 줄곧 요직을 맡았던 4선의 민 총무는 정책을 다루는데 있어 공화당과 유정회는 형제의 사이라고 했다.
『공화당과 유정회 사이에 계층별 협조 기구를 마련하고 정부·여당협의회 참석, 당과의 주례 회담 등을 꼭 실현시키겠다.
따라서 공화당 원내총무와의 협의는 모든 분야에 걸쳐 이루어질 것이며 기타 교섭단체의 원내총무도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그는 다짐했다.
황해도 산인 그는 예비역 중장이란 군력과는 달리 온후·원만하다는 것이 주위의 평이지만 『어떤 명령이건 복종하는 체질은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 자신의 말이다. 동향이며 평소 교분이 두터운 백두진 회장이 직접 그를 천거했다는 중론.
최정순 여사와의 사이에 2남3여를 갖고, 취미는 『막 시작한 「골프」와 걷기 운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