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키워드로 보는 사설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교학사 교과서 논란의 뿌리는 한국현대사학회가 만들어진 2011년 5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현대사학회는 “한쪽(좌)으로 편향된 역사 연구를 지양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기반 위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한다”는 입장을 표방했다. 이 학회에는 보수·우익 성향의 학자들이 대거 포진했다.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는 이 단체의 학자들이 주축이 돼 만들어졌다.

 교학사 교과서가 나오자마자 진보 성향의 한국역사연구회, 역사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는 “역사 왜곡에 심각한 사실 기술 오류까지 중요한 것만 지적해도 298건”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9월 11일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이번에는 교학사가 교과서 발행을 포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역사 논란에 휩싸여 자사 이미지가 실추됐다는 것이 이유였다. 우여곡절 끝에 교학사는 역사 교과서를 내기로 했으나, 이어진 교육부의 수정·보완 조치가 또 다른 논란을 낳고 있다. 교학사뿐 아니라 한국사 교과서 8종에 대해 무려 829건에 달하는 수정·보완 조치를 내린 것이다.

 이에 대해 ‘색깔논쟁으로 교과서 문제를 희석시키려는 물타기’라는 반발과 ‘국가 정체성을 세우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는 찬성 측 의견 사이에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혼란을 막기 위해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돌리자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