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사고] 실종자 행적 확인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실종자 확인을 위한 경찰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다.

대구시내 각 경찰서의 수사관 61명으로 구성된 신원확인반은 지금까지 신고된 실종자들이 사건 현장에서 사망했는지를 가리는 작업을 3일 시작했다.

경찰은 신고된 6백2명 가운데 ▶생존 확인 2백62명▶사망 확인 23명▶부상 2명▶이중신고 31명을 빼면 현재 실종자는 2백84명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시신 1백49구를 제외하면 1백35명이 여전히 허공에 떠 있는 상태다.

경찰은 우선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유전자감식팀이 맡고 있는 1080호 전동차내 시신들의 유전자나 치아상태 감식작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하지만 이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당수는 확인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시신의 이빨이 불에 타 없어지거나 DNA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다.사건 현장에서 수거한 유류품도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가족들의 소지품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탓이다.

결국 가족들이 나서 실종자가 사고 현장에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하지만 뚜렷한 증거가 없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바로 이들의 행적 확인작업을 경찰이 나서 맡은 것이다.

경찰은 정황 입증을 위해 참사 책임자 조사 못지 않은 강도 높은 수사를 벌이고 있다.

지하철 탑승역의 폐쇄회로TV(CCTV) 확인이나 휴대폰 통화 추적에 공을 들이고 있다.중앙로·반월당역 인근의 사설 학원도 뒤지고 있다.각종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학원에 다닌 학생 등을 찾기 위한 작업이다.수강 신청자 명단과 강의 시간표 등을 확보해 정황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또 병원 진료차 지하철을 탔다는 승객들을 확인하기 위해 영남대병원 등의 진료예약 기록과 평소 진료시간도 파악하고 있다.다른 도시에서 대구역·동대구역에 내려 지하철을 탔다는 실종자의 확인을 위해 열차·지하철의 탑승·도착 시간 등도 체크하고 있다.지하철을 이용한 직장인의 당일 지하철 이용 여부와 탑승 시간대 확인도 마찬가지 맥락이다.실종자의 가족·친구·친척·목격자에 대한 조사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경찰은 당일 실종자의 행적 파악을 위해 이날 중앙로역 실종자 유가족 대기소에 정황 접수 창구를 개설하고 조사가 끝나는 대로 실종자 인정사망위원회에 기록을 넘기기로 했다.사망자로 인정할 지는 최종적으로 이 위원회가 결정한다.

수사본부의 조두원 부본부장(대구경찰청 수사과장)은 “실종자 가족의 답답함을 풀 수 있도록 실종 정황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홍권삼 기자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