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공공성 위해 수신료 올린다며 광고 확대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23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선 KBS 수신료 인상이 쟁점이 됐다.

 길환영 KBS사장은 이날 “KBS는 영국 BBC와 일본 NHK에 비해 수신료 비중이 낮고 광고 비중이 높아 공적 책무를 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며 “수신료 인상이 안 되면 정말 다른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KBS는 2011년 650억원, 2012년 380억원의 적자를 냈다. 올해 적자폭도 6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KBS는 이 때문에 32년째 2500원으로 동결된 수신료를 4800원으로 올리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각에서 거론되는 KBS1의 광고 재개 방안에 대해 길 사장은 “아이디어 차원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KBS는 길 사장의 답변과 달리 수신료 인상과는 별개로 “광고 판매 전략을 강화하고 맞춤형 판촉 활동을 통해 광고수입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업무현황 보고서에 명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료는 수신료대로 올리고, 광고는 광고대로 늘리려는 움직임에 의원들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은 “KBS가 제출한 업무보고에는 수신료 현실화와 동시에 광고수주를 확대한다고 돼 있다”며 “이는 앞뒤가 안 맞는 말로 수신료를 현실화한다면 당연히 광고를 줄여 공영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조해진 의원도 “공영방송인 KBS는 수신료를 재원으로 가고 광고 비중을 낮추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최민희 의원도 "보고서에 적시한 ‘시장친화적 광고 마케팅 강화하겠다’는 전략은 KBS가 중간광고도 하고 1TV 광고도 하고 수신료까지 올리겠다는 꿩먹고 알먹기식의 꼼수”라고 비판했다.

  KBS는 1994년부터 한국전력에 위탁해 수신료를 전기료에 합산해 부과하고 있다. 이런 사실상의 강제 징수에 대한 여론의 비판을 누그러뜨린 명분이 KBS1의 광고 폐지였다.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도 “KBS의 공공성 지수가 SBS보다도 낮다”며 수신료 인상과 광고폐지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KBS의 방만한 경영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수신료뿐 아니라 높은 인건비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며 “KBS의 근본적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권은희 의원은 “KBS가 인력 감축 목표를 제시했지만 하위직만 9.7% 줄고 상위직은 오히려 7.6% 증가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적자구조가 심화되는 중에도 사장의 연봉은 4년간 35%나 인상됐다”며 “회사는 빚잔치를 하면서도 사장 연봉은 지속적으로 올려놓고 돈 없다며 수신료를 올려달라는 건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무소속 강동원 의원도 “KBS는 콘도회원권으로 397구좌(80억9000만원)를, 골프회원권도 5억2910만원 상당을 보유하고 있다”며 “골프회원권은 가격 하락으로 취득 가격에서 4억6411만원의 손실을 봤고 4년간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KBS보도를 일일이 제시하며 공정성 문제를 거론했다. 최재천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후 8개월 동안 9시 뉴스 첫 소식으로 대통령 관련 보도가 방송된 경우가 30번에 달했다”며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의 ‘땡전 뉴스’를 방불케 한다”고 주장했다.

강태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