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고혈압 환자 6.6%는 콩팥병 위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고혈압치료 초기부터 콩팥 합병증 신호인 미세 단백뇨를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 MSD는 25일 '우리나라 1차 의료기관의 고혈압 환자 단백뇨 관리 실태'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9개월동안 전국 고혈압환자 4만 47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서울대병원 등 4개 3차 의료기관과 777개 1차 의료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단일국가 1차 의료기관을 주축으로 진행한 임상 중 최대 규모다. 저명 국제학술지인 ‘고혈압 연구’ 최신호에도 소개됐다.

그 결과 1차 의료기관인 동네병원에서 고혈압을 치료하는 환자 6.6%는 미세 단백뇨나 단백뇨가 검출됐다. 적지 않은 환자가 신장(콩팥)이 나빠지고 있는데도 모르고 있었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신장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는 미세 단백뇨 환자는 5.4%(2158명), 단백뇨 검출 환자는 1.2%(499명)이다. 미세 단백뇨가 나타난 환자는 고혈압 치료제 복약 순응도가 낮거나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았다.

주관연구자인 서울대병원 김연수 교수는 “미세단백뇨 또는 단백뇨가 나타난 환자들은 고혈압 치료제 복약순응도가 낮거나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았으며 높은 체질량지수, 높은 연령대, 당뇨병 유병력, 신장 관련 질환 보유 등의 특징을 보였다”고 말했다.

21세기내과 김한수 원장은 “이번 역학 연구 데이터는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달리, 내원 고혈압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병·의원을 대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실제적인 수치로 볼 수 있다”며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는 정기적으로 단백뇨 검사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MSD 김소은 상무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고혈압 환자의 미세단백뇨 관리 실태를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미세단백뇨는 신장이 나빠지고 있다는 조기 신호다. 미세단백뇨는 소변에 단백질이 정상치 이상으로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신장에 손상이 일어나 단백질에 대한 투과력이 증가하고 흡수력이 저하되는 경우 미세단백뇨가 발생한다. 신장 합병증이 발병하기 쉬운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단백뇨 여부를 측정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신질환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수분량의 증가에 의한 부종과 신장에서 생성되거나 활성화되는 호르몬의 부족이나 대사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빈혈, 신성 골이영양증, 고칼륨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심혈관계 합병증이 흔히 동반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

[인기기사]

·내년부터는 약 많이 팔지 말아라? [2013/09/25] 
·유한양행 제약업계 첫 매출 1조 시대 여나? [2013/09/25] 
·복지부 "간호인력 개편안 5년 후 반드시 실행" [2013/09/26] 
·혈액감염 위험 없앤 스마트 의료기기 뜬다 [2013/09/26] 
·한국인 출신 제약 기업인 잘나가네 [2013/09/26] 

권선미 기자 byjun3005@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