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요금 인상 앞두고 공염불에 그칠「서비스」개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오는 10월6일부터 전국 일제히 오른다는 교통부의「버스」요금 인상 발표는 시민들을 어리둥절케 했다. 경제 기획원과 교통부는「택시」요금을 올릴 때도 다른 공공 및 관허 요금은 올해에 절대로 올리지 않겠다고 몇 번이나 장담했었다.
시민들은 기습인상 발표가 나자『각종 물가 인상에 또 부채질을 하는 격이 되었다』고 불평하면서 기왕 요금을 인상하려면 철저한「버스」의「서비스」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공해차량을 철저히 단속, 모두 없애는 등 개선책이 앞서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한편 서울시는 요금 인상에 따른 3개 선행 조건 지시에 따라 「서비스」개선 세부계획을 짰다.
서울시는 9월 한달 동안 명랑한 교통 이룩하기 운동을 연장실시하고 올해 안으로 노후 차 5백대(1백대는 이미 대체)를 대체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버스」요금 인상조건으로 교통부가 발표한「버스」종사원 외 처우개선,「버스」안팎의 완전수리·경비는 물론 종사원에 대한「서비스」개선 등 조건 실시계획은 하나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대중 교통수단인「버스」요금만 대폭 인상한 결과만 빚었을 뿐 앞으로 이를 이용할 시민들에 대한「서비스」또는 시내 3천7백29대의「버스」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있는 매연·공해차량에 대한 개선책 등 아무런 사전 보장도 없다.
21일 현재 시내「버스」는 모두 3천7백29대로 이중 1천4백25대가 임시「버스」, 나머지 2천3백4대가 좌석「버스」이다.
서울시 하루 교통량 5백미만 80명 가운데「택시」이용인구는 1백10만7천여 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4백만 명이「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서울시에 의하면「버스」1대의 하루 평균 수입은 1만2천 원으로 윌10만원 이상의 순수익을 보장하고있다.「버스」1대 하루 수입의 20∼30%를 운전사·차장 등 종사원이 가로채고 있으며 이른바 노선낭비도 많다는 것이다.
74개「버스」회사 산하에는 차주가 무려 1천2백명 가량 있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 이들「버스」공영화 등의 운영개선으로 업자들의 영세성을 탈피케 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등도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