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동섭 소망교도소장 "자원봉사 덕분에 운영 가능…미국식 영리형과 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심동섭(54·사진) 소망교도소장은 부장검사 출신이다. 2006년 변호사로 개업해 일하던 중 문득 ‘국민에게 사랑받으며 검사 생활을 해왔는데 좀 더 보람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마침 개소 작업에 참여했던 아가페재단(소망교도소 운영)에서 연락이 왔고 그는 2011년 9월 소장에 취임했다.  

심 소장의 교도소 운영 원칙은 ‘엄격한 규율 속 자율 보장’이다. 그는 “민간 교도소라고 해서 운영이 물렁물렁한 건 아니다”며 “이곳은 엄연히 법무부 통제를 받는 교도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 1원칙은 엄격한 규율이란 걸 재소자들이 누구보다 잘 안다”며 “다만 규율을 잘 지키는 재소자에겐 최대한 자율을 허용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국영 교도소와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범률에 대한 관심도 촉구했다. “전국 교도소 재소자가 4만8000명입니다. 배정된 연간 교정예산은 1조원 수준이고요. 그런데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범에 따른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0조원 이상이라고 합니다. 조금만 더 투자하고 노력해서 재범률을 낮추면 결국 사회에 득이 됩니다.”

 이는 소망교도소가 인성교육에 집중하는 이유라고 그는 설명했다.

 소망교도소는 시설이 좋아 ‘호텔 교도소’라는 지적도 받는다.

이에 대해 심 소장은 “지은 지 몇 년 안 돼서지만 서울 남부교도소처럼 최근에 신축한 곳보다 더 나은 것은 아니다”며 “‘호텔’의 기준은 잘 모르겠지만 자유를 박탈당한다는 것 자체가 큰 고통”이라고 했다. 재소자 1명당 수용공간 등 법무부에서 정한 규격에 따라야 하며 복지 선진국으로 일컫는 스웨덴 등에 비하면 많이 뒤진다고 덧붙였다.

 ‘민영 교도소라서 영리를 좇는 것 아니냐’는 주변의 시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민영 교도소가 낯설다 보니 미국식 ‘영리형’ 교도소를 떠올리는 것 같다”며 “소망교도소는 재소자의 사회적응에 초점을 둔 ‘교화형’ 민간 교도소”라고 했다.

이어 “돈을 벌려고 했다면 더 나은 일들이 많다”며 “정부 예산과 기부금으로 운영하고 남는 돈은 다 재소자들에게 쓴다”고 말했다. 종교재단에서 운영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적극 참여해서 그나마 운영이 가능한 것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여주=김기환 기자

관련기사
▶ 성폭력범이 3대1 경쟁률 뚫고 입소한 소망교도소 가보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