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 저리고 걷기 힘들다면 척추질환 의심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김영수병원 김도형 원장이 척추 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현진 기자

중학교 교사 김관순(50·여·서울 서초구)씨는 요통으로 제대로 서 있기 힘들다. 학교 수업을 진행하기 어렵고, 걸을 때도 다리에 힘이 없어 절뚝거린다. 최근엔 허리부터 엉덩이·종아리까지 당기는 듯한 통증이 찾아왔고, 발바닥은 저렸다. 병원을 찾은 김씨는 척추관협착증으로 진단받았다.

이후 김씨는 고주파 수핵성형술을 받고 통증에서 벗어났다. 김영수병원 김도형 원장은 “흔히 다리가 저리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의외로 척추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눌린 신경부위 따라 발바닥·발목 통증도

척추도 늙는다. 잘못된 생활습관에다 노화로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의 탄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원래 S자 모양인 척추가 변형돼 허리가 굽는다. 나이가 들면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약해지고 필요없는 뼈가 자란다. 척추관협착증 같은 척추 질환이 대표적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다발을 보호하는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생긴다. 척추뼈와 인대가 신경을 압박해 다리 저림·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눌린 신경부위에 따라 엉덩이·허벅지·종아리·발목·발바닥에 통증이 생긴다.

처음에는 통증이 간헐적으로 시작되다가 점점 심해진다.

나중에는 걸어다니는 것도 힘들다. 100m도 안 되는 짧은 거리조차 쉬었다가기를 반복한다. 항상 허리를 숙이고 다니는 것도 특징이다. 김 원장은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신경을 누르던 척추관이 넓어져 일시적으로 통증이 준다”며 “이렇게 허리가 굳으면 꼬부랑 할머니가 된다”고 말했다.

 

다리 꼬지 않는 생활습관으로 예방

척추관협착증은 처음에 어떤 치료를 받느냐가 중요하다. 고령층은 운동부족으로 근력이 약한 데다 고혈압·당뇨병·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차적으로 비수술 치료를 고려한다. 김 원장은 “척추환자 10명 중 9명은 비수술법으로 치료한다”고 말했다.

비수술요법에는 ▶특수 카데터로 아픈 부위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경막외 신경성형술 ▶튀어나온 디스크에 고주파열을 쏘는 고주파수핵성형술 ▶내시경 카메라를 보면서 디스크를 제거하는 고주파 내시경 치료가 있다.

김 원장은 “비수술 치료는 시술이 간편하고 효과가 좋아 회복이 빠르다”며 “나이가 많은 사람도 비교적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짧은 시간에 시술이 가능해 일상생활 복귀도 빠르다. 상처나 흉터도 거의 없다.

물론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김도형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이 심한 10%는 척추뼈를 떼어내 척추관을 넓히고 고정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며 “치료시기를 놓치면 운동신경이 손상돼 후유증으로 오래동안 재활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척추질환을 예방하려면 평소 생활습관을 점검한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비스듬하게 누워 TV를 보면 한쪽으로 척추가 휜다. 김 원장은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통증이 있다면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권선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