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 여야 합동 의총제의|안보「1일 국회」서 후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민당은 오는 16일 열리는 여야총무회담에서 안보 대책을 위한 여야 합동의원총회 양당합동 확대 간부회의를 열도록 제안할 방침이다. 신민당은 안보대책만을 협의하기 위한 단기간의 임시국회소집에 응할 용의가 있다는 태도를 12일 상오 정해영 총무가 밝혔으나 저녁 늦게 유진산 대표위원과 만난 뒤 이같이 후퇴한 것이다. 그러나 공화당은 임시국회가 아닌 합동 의원총회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오는 16일의 총무회담이 원만한 합의를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정 총무는『정부가 북괴의 대 일본 세균 발주사건에 대한 명백하고도 책임 있는 진상을 밝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사태의 중대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 유대표의 생각』이라고 전하고『이 때문에 먼저 여야의 합동 의원총회를 열어 정부로부터 사건의 내용과 대책을 들은 뒤 그 중대성이 인정되면 안보국회소집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당 총무가 안보국회 소집 용의를 표시한 뒤 김진만·정해영 두 여야총무는 12일 두 차례 만나 오는 16일 총무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이 자리서 김 공화당 총무는 임시국회의 즉각 소집을 제안했으나 정 신민당 총무는 안보국회를 연다해도 이는 국회 정상화와는 별개의 것이라고 말하고 여당도 국회 정상화를 위한 태도를 다시 밝히고 야당도 당론을 조정하기 위해 16일 총무회담을 열자고 말했다.
유진산 신민당대표는 정 총무로부터 두 총무의 합의에 관한 보고를 들은 뒤『세균 문제로 국회를 당장 열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공화당이 세균사건을 규탄하기 위한 궐기대회를 요청하거나 정부로부터 이 사건에 대한 보고를 듣기 위해 국회 본회의 형식이 아닌 여야의 모임을 주선한다면 응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수한 대변인은 상도동 유 대표 집에서 국회대책을 논의 한 끝에 선거제도의 개혁 없이는 국회에 출석하지 않는다는 종래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공화당은 여야 합동 의원총회 소집문제에 대해『국회를 두고 의원총회를 갖는다는 것은 이해가 갈 수 없다』(김창근 대변인 말)고 냉담한 반응을 보였으며 총무회담에서 안보국회 소집 문제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독국회나 관계 상위 연석 회의를 소집하게될 것이라고 김 대변인은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