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가 띄운 뉴타운, 오세훈 키우고 박원순이 폐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뉴타운 정책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직하던 2002년 시작됐다. 낡은 주택가를 헐고 새 아파트를 짓는다는 맥락에선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다를 게 없었다. 하지만 뉴타운은 도로 등 공공기반시설까지 계획에 포함시킨다는 점에서 새로운 도시 재개발 방식으로 시민들의 호응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 전 대통령(당시 시장)은 은평·길음·왕십리 등 34곳을 뉴타운 사업구역으로 지정했다. 부동산 경기 호황 바람을 타고 뉴타운 지역의 집값은 최고 몇 배까지 뛰었다. 뉴타운 지역엔 수많은 중개업소가 들어섰다.

 2006년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까지 만들어지면서 뉴타운은 서울시를 뛰어넘어 전국적인 히트상품이 됐다. 지자체들은 너도나도 노후 주택가를 뉴타운으로 지정하기 시작했다. 2006년 취임한 오세훈 전 시장도 뉴타운과 연계된 도시개발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그 열풍을 이어나갔다. 하지만 2008년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하고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촉발되면서 뉴타운 열풍은 찬 서리를 맞았다.

 2011년 11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하면서 뉴타운 정책의 종언을 선언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1월 ‘뉴타운·정비사업 신(新)정책구상’에서 “임기 내에 새로운 뉴타운 지정은 없다”며 사실상 뉴타운 정책 폐지를 발표했다.

관련기사
▶ 뉴타운 출구전략 19개월, 종로 창신동 가보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