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비즈 칼럼

수출 금융 개편, 기업 목소리 반영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오원석
성균관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은 반세기 만에 무역 1조 달러를 세계에서 여덟째로 달성했다. 수출 중심의 경제발전 전략과 이를 뒷받침해온 수출보험과 수출금융의 역할에 힘입은 바 크다 할 것이다.

 최근 금융위원회의 주도로 수출보험(무역보험공사)과 수출금융(수출입은행)의 역할과 기능을 개편하려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바람직한 결정을 위한 몇 가지 고려 사항을 제시해 본다.

 우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수혜자인 수출기업의 입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기업 지원 규모가 줄거나 수요자의 다양한 니즈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서는 안 된다. 그럴 경우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대외 수출 환경에서 고전하고 있는 우리 수출 기업들의 실탄을 뺏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정부 정책자금의 재정적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민간 금융 부문의 유동성이 풍부하다면 굳이 정책금융기관 대출을 통한 자금 공급보다는 수출보험(보증)을 통해 민간 유동성을 활용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해외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직접대출로 수출자금을 공급할 수 있는 유연한 정책적 조합이 있어야 한다.

 셋째로 전 세계적인 대외정책금융 흐름을 주시해야 한다. 최근 OECD가 전 세계 주요 36개국의 대외정책금융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대외정책금융을 보험·대출 통합형으로 운영하는 경우는 5개국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보험이나 보증만 운영(19개국)하거나 우리나라처럼 보험·보증 및 대출을 2개 기관으로 분리 운영(12개국)한다. 우리의 수출 경쟁국인 일본·중국을 포함한 독일·브라질·인도 등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진 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보험(보증)과 대출을 분리해 운영하는 체제를 가지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인 보험(보증)과 대출을 지금과 같이 분리 운영하면서 보다 최적화된 정책 조합을 위해 조정기구를 도입한다면 그 시너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오원석 성균관대 경영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