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본부 380조 굴려 … 전북 금융허브 부푼 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전북 이전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지역에서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 20일 ‘국민연금 기금운영본부 전북 이전 법률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위에서 가결됐고, 다음 달 2일 임시회 본회의 통과가 기대된다.

 국민연금공단은 950여억원을 들여 전북혁신도시에 지하 1층, 지상 10층, 건축 연면적 3만2300㎡의 사옥을 짓고 있고 있다. 지난 4월 착공해 2015년 1월 570여 명의 직원이 입주할 계획이다. 기금운영본부까지 들어오면 입주 인력은 200여 명 더 늘어난다.

 기금운용본부는 국민연금 공단의 핵심 조직. 연간 20조~30조원씩 거둬들이는 국민연금의 안정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급변하는 투자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한다는 취지를 내걸고 1987년 설립됐다.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 주식·채권 운용, 대체 투자, 해외증권 등 8실 17팀이 있다. 뉴욕·런던에도 별도의 사무소가 있다. 전체 인력의 80%는 펀드매니저 등 전문인력이 차지한다. 기금운용본부가 굴리는 자산 규모는 2012년 기준 380조원에 이른다. 자금은 채권(67%)·주식(24.5%)을 비롯해 부동산·SOC·벤처 등에 투자해 수익을 올리고 있다. 주식의 경우 국내 시가총액 1~3위를 달리는 삼성전자·현대차·포스코의 주식을 5% 이상 보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 기금운영본부의 이전으로 전북지역에 금융서비스 산업의 꽃을 피울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전망한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와 직간접으로 거래하는 투자운용사는 증권사·은행·투자금융회사 등 300여 개에 이른다. 기금운용본부가 전주 인근의 혁신도시로 이전할 경우 이들 투자운용사도 현지 지점 설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연히 인력도 따라온다. 이렇게 될 경우 전북지역은 연·기금 중심의 금융 허브가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증권·투자금융회사의 이전은 지방세 수입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지난해 인천시가 송도에 유치한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유치 효과가 클 것으로 점친다. 정부는 2020년까지 1000억 달러(약 112조원)의 자금을 확보해 운영하는 GCF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연간 3800여억원으로 보고 있다. 전북도는 국민연금이 대기업의 지역투자 물꼬 트기 역할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민연금이 국내 주요 대기업 상장사의 대주주로서 지역의 유망 업체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는 지렛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기상 전북도 기획관리실장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와 관련 기관들이 잇따라 내려올 경우 전북이 서울·부산과 함께 국내 금융산업의 트라이앵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며 “21세기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새만금의 신산업 투자·발전을 이끄는 캐시카우 역할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혁신도시는 전주시 만성동과 완주군 이서면 일대 990여만㎡로 조성돼 총 12개 기관이 입주한다. 올 8월 지방행정연수원을 시작으로 11월 지적공사가 이주한다. 내년에는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전기안전공사·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 4개 기관이 옮겨 온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