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교통사고 등 중증외상환자 살리는 병원 4곳 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에서 대형교통사고가 발생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중증외상환자가 살아날 확률은 미국,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얼마나 될까.

전문 외상환자 진료시설인 중증외상센터를 203개 마련한 미국은 기존 34%인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15% 수준으로, 90개를 마련한 독일 역시 90개를 마련해 기존 40%에서 20% 수준으로개선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은 35%(2010년)로 선진국에 비해 많이 높은 실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올해 4개의 권역외상센터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권역외상센터’는 365일 24시간 언제나 중증외상환자의 골든타임인 1시간 안에 전문팀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로 보건복지부가 작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외상 분야는 건강보험의 사각지대로, 수익성이 낮고 업무 난이도, 위험성이 높아 민간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투자하기 꺼려하는 분야다. 보건복지부는 오늘(31일)부터 시작되는「2013년도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기관 선정 공모」를 통해 외상 분야에 역량이 충분하고 의지가 확실한 의료기관을 엄선하여 전문적인 의료시설 및 전담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함으로써 중증외상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겠다는 목표다.

권역외상센터는 시설·장비 등 인프라 확보를 위한 자본금 80억원과 인력 확보, 이송체계 구축 및 홍보·교육에 필요한 운영비 7.2억원 등을 지원받게 되며, 향후 해당 지역권내 중증외상환자의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책임지는 임무를 부여받게 된다.

운영비는 권역외상센터별 예방가능한 사망률을 얼마나 낮추었는지 등의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게 된다.

이번 공모는 작년과 달리, 사전에 선정평가지표를 공개하여 사업의 목표를 뚜렷이 하고 선정의 투명성을 높였으며 선정평가지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전문가 회의를 거쳐 반영하는 등 선정평가에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였다.

복지부는 이번 공모에 관심 있는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6월 3일, 서울대학교치과대학병원 8층 대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사업설명회를 포함한 2013년도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사업 공모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5월 31일부터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기기사]

·U헬스 시대, 의료계 새로운 패러다임 열리나 [2013/05/29] 
·중앙대병원만의 환의와 유니폼, 브랜드 가치를 입다! [2013/05/29] 
·마크로젠 맞춤의학 가속화에 실적도 '방긋' [2013/05/29] 
·만성 B형간염, ‘마라톤 복약’이 필수 [2013/05/30] 
·‘심평원 개XX’ 글 올린 의사, 벌금형 [2013/05/29]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