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전 총리, 아베 망언 정면 비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무라야마 전 총리

1995년 식민 지배와 침략을 사죄하는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한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등 일본 정치인들의 극우 망언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19일자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인터뷰에서 “침략의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다”며 일제의 침략 사실을 부정하는 주장을 했던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해 “이상한 이야기인 것이, 무력으로 적국에 들어가면 그것이 침략이지 그 외의 표현은 없다”며 “왜 그런 소리를 하는지 나로선 알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무라야마 담화를 모두 계승하지는 않는다”는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해서도 “담화를 부정하는 입장에 선다면 한국과 중국뿐 아니라 아시아 전체와 미국으로부터 비판을 살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군대가 강제적으로 납치해 연행해 갔다는 사실, 기록은 없을지 모르나 군이 작전상 위안소를 설치하고 관리한 것은 명확한 사실”이라며 “이제 와 고노 담화는 사실이 아니라며 굳이 국내에서 이 문제를 뒤집어엎어 국제적 비판을 받는 어리석은 짓은 그만두는 게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무라야마 담화를 수정한다거나 헌법 개정 이야기를 꺼내면 중국은 물론 한국과의 관계도 꼬여 일본은 고립되고 갈 곳이 없어진다”며 “아베 총리가 아베노믹스로 지지율이 높아지니 조금 자신과잉이 돼 있는 느낌”이라고 덧붙였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일본유신회 대표 겸 오사카 시장의 “위안부는 필요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 나쁜 짓은 나쁜 짓이니 제대로 사죄하고 대가를 치를 필요가 있다”며 “그게 일본으로서의 책임이라고 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자민당 간사장은 일본유신회와의 개헌 공조 가능성에 대해 18일 “일본유신회는 정당으로서 통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며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이를 두고 일본 정치권 도 극우 분위기를 주도하는 인물들과 거리 두기에 나섰다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