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을 위한 행진곡' 울려 퍼져…박 대통령은 부르지 않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와 국가보훈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임을 위한 행진곡’이 국립 5·18 민주묘지를 가득 메웠다.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오전 광주 5ㆍ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ㆍ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지자 손에 태극기를 꼭 쥔 채 자리에서 일어났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노래를 따라 부르진 않았다.

여야 정치인들의 반응은 달랐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노회찬 진보정의당 대표, 무소속 안철수 의원 등 야권 정치인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가 시작되자 자리에서 일어나 제창했다.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이날 행사에서 제창이 아닌 합창하기로 한 데 대한 거부의 표시였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문수 경기지사 등 여권 인사들도 마찬가지로 자리에서 일어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해 기념식장에는 여야 구분없이 하나된 정치인들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야권인사들은 이날 행사에서 보훈처의 결정과 관계없이 ‘임을 위한 행진곡’이 나올 때 자리에서 일어나 제창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바 있다. 안철수 의원 역시 보훈처의 결정과 관련해 “이미 많은 국민들 사이에서 문화와 전통으로 자리 잡은 상징적인 곡을 국가에서 무리하게 변경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박 대통령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부르지 않은 것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김 대표는 행사가 끝난 뒤 “대통령께서도 이번에 노래를 같이 하셨다면 얼마나 큰 대통합의 결과가 있었겠나”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5ㆍ18 유족회와 5ㆍ18 부상자회 등 단체들은 행사장 문 앞에서 보훈처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에 반발하는 시위를 벌였다. 또 기념식에 불참한 통합진보당과 광주전남진보연대 및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외국인 등 500여 명도 망월동 구묘역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갖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대회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김무성 의원, 민현주 대변인 등이 참석했다. 민주당에서는 김한길 대표를 비롯한 50~60명의 의원들이 대거 참석했고, 노회찬 진보정의당 대표도 참석했다.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는 기념식에 불참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사진 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