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책과 지식] 어느 한문학자의 시대 유감 … 대학이 학점만 주는 공장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침묵의 공장
강명관 지음, 천년의상상
132쪽, 1만1000원

“공부는 논문의 양산(量産)으로 대치됐고, 교육은 학점 주고받는 과정에 불과하다. 대학이 붕괴하고 있다.”

 부산대 한문학과 강명관(55) 교수의 진단이다. 책 제목 ‘침묵의 공장’이란 대학을 가리킨다. 학문의 전당인 대학을 기성품 찍어내는 공장에 비유했다. 그것도 말이 없는 공장. 대학의 현실을 아파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목소리조차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침묵이라 했다.

 저자가 볼 때, 한국의 대학은 개인의 사회적 서열을 매기는 곳이고, 차등화된 노동자를 배출하는 곳이 된 지 오래다. 강요된 공부에 지친 이들이 모인 곳, 대학이 다시 창조적 열정이 피어나는 곳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책을 냈다고 한다.

 저자의 촉수는 한문학을 넘어 인문학 전반으로 확장된다. 그렇게 된 데는 부산대 명물로 꼽혔던 ‘인문학담론모임’ 영향이 크다. 뚜렷한 조직도 없이 1995년 3월 몇몇 교수들이 하나 둘 모이며 시작돼, 방학을 빼고 매년 8번씩 12년간 한 번도 거르지 않고 100회를 채웠다고 한다.

 토론 주제는 인문학이 주류였지만 예술·정치학·경제학·사회학·천문학을 넘나들었다. 일찍부터 학문간 융합의 가능성을 실험했던 셈이다. 2007년 6월 막을 내린 그들의 작은 역사가 책 속에 담겼다.

 6년 전 인문학담론모임이 해산하던 날 저자가 발표했던 글이 이 책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폐회를 아쉬워하는 거친 숨소리가 곳곳에 스며 있다. 6년 전과 오늘의 대학의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은 듯하다. 인문학 위기는 그때나 지금이나 되풀이된다.

 하지만 저자는 인문학의 위기를 묻는 것 자체가 잘못이라고 지적한다. 인간이 존재하고 인간의 문화가 존재하는 한 인문학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쇠퇴한다면 그건 제도권 내에서 돈과 권력에 길든 인문학일 뿐이라고 했다.

 강 교수는 ‘인문학의 수공업성’ 회복을 외친다. 연구비 수주 실적이나 논문의 수량으로 능력을 평가받는 대학 현실을 안타까워한다. 외부 연구비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각종 행정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운 독립적 지식인의 길을 걸어가보자는 제안이다. 그럴 때 진정한 인문학의 길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