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가 불안 심상치않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물가오름세가 연초부터 심상치 않다. 소비자물가가 이달 들어 0.6% 상승해 1년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설빔과 제삿상 마련에 분주했던 주부들은 이미 장바구니물가의 가파른 상승을 체감했겠지만 이대로 가면 올해 물가 3%대 안정은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연초 물가상승에는 설 수요로 인한 농수산물가격 상승과 유가 급등에 건강보험수가 조정과 학원비 등 서비스 요금 인상도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농수산물 가격이야 한파가 꺾이고 설을 지나 반입이 정상화되면 제자리를 찾아가겠지만 물가불안이 넓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원화절상에 소비심리 위축 등 올해도 물가 안정 면에서 보면 상쇄 요소가 없는 게 아니다. 그러나 불안요인이 더 커서 특히 최대 복병인 유가는 두바이산이 배럴당 30달러에 육박하는 등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여기에 시내버스와 지하철요금도 인상방침이 정해진 채 시기만 기다리고 있다. 부동산값 상승도 지난 연말 이후 한풀 꺾였으나 정부청사 이전과 신도시 건설 등 잠복요인을 가볍게 볼 게 못된다.

물가가 오르면 우선 허리가 휘는 것은 서민과 봉급생활자다. 더욱이 노년층 퇴직생활자들은 마이너스로 돌아선 실질금리가 더 떨어져 고통이 커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물가를 잡는 데 가격통제 외에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금리를 올려 돈줄을 죄야 하나 경기가 안좋아 대응이 어렵다. 그렇다고 뒷짐만 져서는 안돼 우선은 유통구조를 정비해 농수산물 수급불안을 막고 부동산 투기에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공공요금도 경영혁신으로 최대한 인상을 억제하고 부실 요인까지 떠넘기는 일을 막아야 한다. 또한 경기도 걱정해야겠지만 필요하다면 통화.재정정책을 망라하는 대응도 생각해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