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현철씨 문제, DJ 옷로비 사과 … 논란 초기에 적극 대처 못해 역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인사검증 실패에 대한 청와대의 지난달 30일 대국민 사과는 박근혜 정부 출범 33일 만에 나왔다. 대통령이 직접 사과하지 않고 비서실장 명의로 낸 사과문이었지만 역대 정권의 대국민 사과 사례와 비교하면 가장 시점이 이르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는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1993년 12월 “대통령직을 걸고 쌀 시장 개방을 막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대국민 성명을 발표한 게 시초다. YS는 임기 종반인 97년 2월 아들 현철씨가 한보 비리에 연루돼 구속수감되자 “아들의 허물은 곧 아비의 허물”이라며 또 사과했다. 김대중(DJ) 전 대통령도 집권 초반인 99년 6월 ‘옷 로비’ 사건으로 대국민 사과를 했다. DJ는 그 뒤로 조용하다 임기 막판인 2002년 3월 최규선 게이트가 터지면서 세 아들의 비리에 대해 사과성명을 냈고, 6월엔 대국민 사과 성명을 직접 낭독했다.

 노무현 정부에선 워낙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가 잦아 정확한 횟수조차 헤아리기 어렵다. 노 전 대통령은 취임 93일 만인 2003년 5월 28일 기자회견을 열어 생수회사 장수천 투자 문제와 관련해 “주변사람들이 관계된 의혹들로 심려를 끼친 데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첫 사과를 했다. 노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에만 측근 안희정씨의 나라종금 로비 의혹,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비자금 수수 등과 관련해 4건의 유감 표명을 했다. 노 전 대통령은 2004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도 두 번의 대국민 사과를 했고, 2005년 시위농민 사망사건, 2006년 바다이야기 사건 때도 또다시 사과했다.

 이명박(MB) 전 대통령은 취임 87일 만인 2008년 5월 22일 촛불시위 때문에 국민에게 처음으로 머리를 숙였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친형 이상득 전 의원 등 친·인척 비리에 대해 사과한 것까지 재임 중 모두 6차례 대국민 사과를 했다.

 청와대의 대국민 사과는 타이밍이 생명이다. 선제적으로 여론을 다독거리지 못하고 여론에 역행하거나 떼밀려 내놓은 사과 성명은 역효과를 낸 경우가 많았다. 탄핵 정국 때 노 전 대통령은 야당의 사과 요구를 계속 거부하다 탄핵 당일에 사과 성명을 발표했지만 오히려 야당은 “진정성이 없다”고 반발했다. YS의 현철씨 사과나 DJ의 옷 로비 사과 등도 논란 초기에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뒤늦은 대국민 사과가 여론을 더 악화시켰다.

 이번 청와대의 대국민 사과에 대해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청와대 대변인의 진심 없는 대독 사과로 끝낼 일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김정하 기자

[관계기사]

▶靑 인사사고 대변인 시켜 주말 달랑 두 줄 '17초 반성문'

▶비서실장 명의 사과, 왜? "대통령이 사과하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