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시행사 오늘 긴급이사회 코레일, 삼성물산 시공권 포기 요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향방이 15일 다시 시험대에 서게 됐다. 전면 무산이냐, 일단 정상화되느냐를 좌우하는 갈림길이다.

 이 사업의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는 15일 오후 서울 중구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30개 출자사 회의를 한다. 드림허브의 1대 주주이자 땅 주인인 코레일의 요구로 소집된 회의다.

 코레일은 이 자리에서 민간 출자사들의 기득권 포기를 전제로 하는 사업 정상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방안에 따르면 드림허브 이사진 구성은 현재 코레일 2명, 민간 출자사 8명에서 코레일 6명, 민간 출자사 4명으로 바뀐다.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 경영권도 코레일이 가져간다. 확실하게 경영권을 장악해 개발사업을 주도하겠다는 것이다. 삼성물산이 가진 1조4000억원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도 되돌려 받는다. 이 제안이 모두 수용되면 코레일은 사업 정상화까지 필요한 자금 3000억원을 드림허브에 지원한다.

 코레일 장진복 대변인은 “드림허브가 파산하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정상화 방안을 코레일 정창영 사장이 민간 출자사에 직접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민간 출자사가 이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사업이 정상화하길 바란다”면서도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은 경쟁 입찰을 통해 정상적으로 계약된 것으로 시공권 반납은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한 민간 출자사는 “신뢰가 깨진 마당에 우리가 코레일을 믿고 따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드림허브는 13일 자산유동화어음(ABCP) 이자 59억원을 내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져 있다. 하지만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가 합의해 올 6월까지 1조2000여억원의 자금을 마련하면 정상화를 모색할 수 있다.

 한편 이날 오전에는 드림허브 이사회가 따로 열린다.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출자사 간의 격렬한 논쟁이 예상된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