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접달라진 한국 디지털 가전 "비싸도 잘 팔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55인치 프로젝션 TV는 삼성전자 2천5백99달러, 일본 S사 2천2백99달러. 15인치 박막액정표시화면(TFT-LCD) 모니터의 경우 삼성전자 5백99달러, 네덜란드 P사 4백22달러.

미국 시애틀의 한 대형 쇼핑센터 내 베스트 바이 매장에 진열된 주요 디지털 가전 품목의 지난 11일 가격표다. LG전자의 PDP(벽걸이 TV) 도 고급.고가 제품 대접을 받았다.

이제 한국산 가전은 미국 시장에서 더 이상 '싸구려'나 '세일 품목'이 아니다.

미국의 대표적 전자제품 체인인 베스트 바이에선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레이어.평면 모니터.휴대폰 등 한국제품 값이 세계 유명 브랜드보다 비싼 경우가 적잖았다.

DVD플레이어와 VCR 기능을 합친 삼성DVD콤보는 비슷한 제품 중 가장 비싼 2백99달러다. 그런데도 지난해 미국에서 1백10만대(시장점유율 11%) 가 팔리는 히트를 쳤다.

국제 가전 박람회에서도 디지털 강국 대접을 하기 시작했다. 지난 9일부터 나흘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2002 CES'에서 진대제 삼성전자 사장은 아시아 사람으론 처음 개막 기조연설을 했다.

이 박람회는 지난해부터 한국어를 행사의 7개 공식언어에 포함시켰다.

CES에서 '삶의 디지털화'를 표방한 LG전자는 40~60인치의 대형 PDP(벽걸이TV) 등 첨단제품으로 해외 경쟁업체를 긴장시켰다. DVD의 5배 용량의 고화질(HD) 비디오를 재생하는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VDR) 역시 LG가 이번 행사에서 업계 처음 선보였다. 일본공업신문 등 해외 언론은 '한국 전자업체가 일본 등 선진국을 위협하고 있다'고 관람평을 썼다.

김영수 LG전자 부사장은 "디지털 가전은 아날로그 가전과 달리 선.후발 기업의 격차가 크지 않은데다 모니터 등 일부 분야는 한국이 세계 흐름을 주도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삼성.LG 양대 가전사는 현실로 바짝 다가온 '홈 네트워크''차세대 이동통신'시대를 북미 시장 확대의 호기로 삼아 마케팅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2005년까지 1억5천만달러를 북미시장 마케팅 비용으로 잡았다.

삼성전자도 올해 마케팅 예산의 20%인 2억달러를 솔트레이크 겨울 올림픽 스폰서 등 브랜드 알리기에 쓰기로 했다.

시애틀.라스베이거스=홍승일 기자

▷ 한주의 인기 기사 보기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