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등 6개국 연구팀, 침팬지 지놈지도 첫 구축

중앙일보

입력

한국과 미국, 일본 등 6개국 공동 연구팀이 세계처음으로 침팬지의 지놈지도(유전체지도) 구축에 성공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팀은 7만7천461개의 침팬지 BAC(박테리아인조염색체) 클론의 말단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이를 인간의 지놈정보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침팬지의 지놈지도를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저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지 4일자(현지시각)에 실릴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생명공학연구원과 일본(이화학연구소), 독일(막스플랑크연구소), 중국(상하이지놈연구소), 대만(양밍대학), 미국(오클랜드연구소) 등 6개국연구진이 지난해 3월 공동으로 구축한 `침팬지 유전체연구 국제컨소시엄'에 의해 이뤄졌다.

연구진은 침팬지 염기서열을 인간 지놈에 비교한 결과 98.77%가 같았으며 이 가운데 이미 완전 해독된 인간의 21번 염색체에 대비해서는 침팬지를 비롯한 영장류와 인간에게 몇개의 특이한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에 따라 침팬지의 전체 지놈중 인간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약 0.8% 수준인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침팬지 연구를 통해 인간의 진화과정에 중요한 요소인 유전자의 전이(translocation)와 결실(deletion), 증폭(duplication) 등을 새롭게 규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박홍석 박사는 "지놈의 구조가 인간과 98%이상 동일하면서도 형태적인 차이는물론 지식이나 감성 등 뇌의 활동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는 침팬지의 지놈연구는 인간의 뇌 기능연구에 필수적인 정보"라며 "이번 유전체지도 구축은 침팬지지놈의 해독을 위한 필수적인 발판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