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원주대 공대 분산에 강릉시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강릉원주대가 일부 학과를 원주 또는 강릉캠퍼스로 옮기는 등 구조개혁을 추진하자 강릉지역과 학내 일부에서 반발하고 있다.

 강릉원주대는 구조개혁 방안으로 특성화 학과(부)를 선발해 지원을 강화하는 대학특성화안과 강릉과 원주캠퍼스에 분산 편재돼 시너지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은 예술계열 및 공학계열 일부 학과를 옮기는 학사구조 조정안을 내놨다. 대학 측은 강릉캠퍼스의 유아교육과(20명)와 공과대학 내 전자공학과(87명), 산업정보경영공학과(30명), 토목공학과(30명)를 원주캠퍼스로 이전 통합하고 원주캠퍼스의 음악과(50명), 패션디자인학과(32명)는 강릉캠퍼스 예술체육대학으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이전하는 학과는 2014년부터 옮겨가는 캠퍼스에서 신입생을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강릉원주대는 18일 강릉시의회에서 열린 구조개혁안에 대한 설명회에서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구조개혁 중점 추진 국립대학으로 지정됐고, 2012년 대학 특성화와 학사 구조조정 개편을 골자로 한 컨설팅 결과를 받았음에도 이행실적이 낮았다며 대학 생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조개혁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의원과 시민단체는 학사구조 조정안에 이의를 제기했다. 김화묵 시의회 의장은 “2년 전 공대 이전은 하지 않겠다고 당시 총장이 약속했다”며 “변화된 지역 여건을 무시하고 공대 일부 학과를 이전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전에 따른 사전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비판도 제기됐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대 이전이 아닌 교수의 자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사회단체는 동해안 경제자유구역 지정,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공장, 영풍그룹의 종합제련소, 대규모 민자 화력발전소 등 강릉에 대기업이 속속 유치되면서 공대 출신자의 수요가 늘고 있다며 공대 이전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학내 반발도 거세다. 19일 강릉캠퍼스에서 열려던 공청회가 일부 학생의 반발로 무산됐다. 학교 측은 21일 원주캠퍼스 공청회 등 의견수렴을 거쳐 23일 수정안을 마련해 26일 수정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고 이달 안으로 교무회의 심의를 마칠 계획이다.

이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