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가슴을 쥐어짜는 고통을 부르는 협심증 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최근 5년간(2007-2011년) 심혈관계 질환 중 ‘협심증(I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환자가 2007년 45만5천명에서 2011년에는 53만3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4.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심증’ 진료에 지출한 총진료비는 2007년 4177억원에서 2011년 5413억원으로 약 1.3배 증가했으며, 이 중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비용은 각각 3175억원과 4192억원으로 연평균 7.2%씩 상승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는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88%를 차지하는데, 이 중 6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여 전체 ‘협심증’ 진료환자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하는 경우 인구 10만명 당 ‘협심증’ 진료환자는 7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이 각각 6271명과 5280명이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협심증 진료환자 수는 연령대별로 다른 추이를 보였는데 30대 이하와 40대는 감소 추세인 반면 50대부터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80대 이상의 경우 매년 평균적으로 14.7%씩 증가하여 2011년 협심증 환자는 2007년에 비해 1.7배 증가한 4만182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50대 이상에서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와 관련, " 협심증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으로서 혈압, 당뇨, 흡연 등으로 인해 동맥경화증의 진행이 빠르다"며 "협심증을 일으킬 정도로 진행되는 기간이 20~30년 정도 되기 때문에 50대 이상에서 협심증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협심증의 환자가 20~40대에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젊은 연령층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운동이나 건강식을 하는 것이 영향을 주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위험인자를 미리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이 원인이므로 주요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요법이 병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요법은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을 하고, 저염식, 저지방 음식의 섭취와 야채, 생선과 같은 건강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흡연자는 절대로 금연해야 하며,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생활요법과 함께 항고혈압제를 투여하여 적정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년 이후에는 이상지질혈증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지혈증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당뇨병의 경우에도 생활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꾸준히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당뇨병의 경우 무증상 협심증의 발생빈도가 높으므로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이밖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하여 위험인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통하여 위험인자의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에 중요하다.

[인기기사]

·CJ제일제당서 리베이트 받은 의사 83명의 운명 [2013/01/28] 
·국시원, 전산오류로 5명 합격취소…후속 대책은 [2013/01/27] 
·[본들] H병원이 개그맨 K씨를 모델로 한 이유 [2013/01/28] 
·“전문병원제도 왜 했는지 회의감 든다” [2013/01/27] 
·서남의대 사태, 결국 뾰족한 대책 찾지 못하고... [2013/01/28]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