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엔저 쇼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렸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이래 영업 이익이 눈에 띄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시장 여건이 좋지 않은 데다, ‘엔저(엔화 약세)’와 원화 강세 등 환율 악재를 만나 빠른 속도로 가격 경쟁력을 잃어버리고 있어서다.

 현대자동차는 24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경영실적발표회를 열고 “지난 한 해 동안 전 세계 시장에서 441만357대를 팔아 84조469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8조4369억원, 당기순이익은 9조56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러나 “지난해 4분기에 22조7910억원의 매출과 1조8319억원의 영업이익(영업이익률 8.1%)을 올렸다”며 “2011년 4분기와 비교할 때 매출액은 10.7%가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1.7%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지 않았던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은 15.6%가량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7.3%가 줄어든 것이다. 현대차 이원희(53) 재경본부장은 “4분기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은 원화 강세 등 환율 변동 요인이 가장 크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현대차의 자동차 판매 대수는 122만6847대로, 전년 동기보다 11만7314대를 더 팔았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문제는 올해 시장과 환율 전망 모두 현대차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 본부장은 “올해 연평균 원-달러 예상 환율은 1056원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원화강세 기조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본다”며 “일본과 경쟁이 치열한 호주나, 러시아에서는 일본 업체의 공세가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일본자동차 업체들은 2004~2007년 사이 엔화 약세를 등에 업고 당시 30.6%였던 미국시장 점유율을 36.9%로 끌어올린 바 있다.

 대신증권 박중섭(36) 선임연구원은 “원고-엔저 현상이 지속되면 국내 업체들은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해외생산을 확대하는 등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 경우 국내 산업 기반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개별 기업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환율 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현대차 주가는 전날보다 1만원(4.59%) 하락해 20만8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